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자료

『국제사회보장리뷰』 2018 가을호 발간

  • 작성일 2018-10-01
  • 조회수 5,931

국제사회보장리뷰2018 가을호 발간

기획 : 건강한 복지 자치의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조흥식)은 세계 주요국 사회보장제도의 동향을 빠르게 분석하고 전하는 국제사회보장리뷰2018 가을호(통권 6)를 아래와 같이 발간했다.

 

기획 : 건강한 복지 자치의 모색

일본의 정부 간 관계: 사회보장 재정을 중심으로 / 국중호 요코하마시립대 교수

영국의 정부 간 복지 재정 분담 및 행정 체계 / 김보영 영남대 교수

미국의 정부 간 복지 재정 분담과 보조금 제도 / 윤태섭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슈분석

폴란드의 보편적 아동수당제도 ‘Family 500+’ 시행 3, 사회경제적 성과와 변화 / 고제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프랑스 복지국가의 개편 노력과 일반사회보장기여금/ 최영준 연세대 행정학과 부교수·김지현 연세대 행정학과 박사과정

네덜란드의 장기요양 개혁 / 이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스웨덴 장애인 돌봄 정책: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중심으로 / 요한나 구스타프손 스웨덴 외레브로대학 장애연구소

난민이 해외 수용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박복영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국제사회보장 동향

중국의 주요 주거보장정책 및 향후 과제 / 유멍(Yu Meng) 난징대 연구교수

스웨덴 노인주거복지서비스 현황과 정책 대응 / 김연진 룬드대학교 박사과정

영국 국가생활임금의 도입, 영향 및 과제 / 김경환 요크대학교 박사과정

일본 노인빈곤 현황과 최근의 논의 / 유야마 아쓰시 서울대 박사수료

영국의 시설퇴소아동 지원 / 서영민 런던대 박사과정

 

 

 

(붙임) 기획 각 주제별 요약

 

일본의 정부 간 관계 / 국중호

일본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각각의 역할에 따라 업무와 재원을 배분하는 방향으로 정부 간 관계를 조정해 왔다. 사회보장 재정에서도 공적 연금은 중앙정부가 책임지나, 의료·개호(노인장기요양사회복지서비스는 중앙과 지방이 사무와 재정을 분담한다. 일본에서는 지방의 사회복지 사무가 증가함에 따라 2007년 지방으로의 세원 이양(국세인 소득세를 낮추고 지방세인 주민세를 높이는 개혁)이 이루어졌다. 나아가 2014년 소비세율 인상(5% 8%)을 통해 사회보장·복지 재원을 확충하기도 했다. 지방재원 확충과 함께 사회보장·복지 부담의 [국비/지방비] 배율이 19905.0배에서 20152.4배로 낮아져 지방비 부담이 증가했다. 일본의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주요 시사점은 지방의 사회복지 사무가 증가하면 이에 따른 재원 마련 방안이 함께 강구되어야 함은 물론 지방의 재정 책임성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영국의 정부 간 복지 재정 분담 및 행정 체계 / 김보영

영국의 사회복지에서 중앙정부는 보건의료, 소득보장, 고용 등을 담당하는 반면 지방정부는 초·중등교육, 사회적 돌봄 등의 사회서비스를 담당한다. 영국의 지방정부는 도시 지역과 지방 지역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는데 이에 따라 사회복지 관련 역할과 책임에는 차이가 있다. 지방정부에 대한 중앙정부의 재정 지원은 지방 재정 획정을 통해 결정되며, 지방정부의 자체 세수는 지방의회세와 보유사업세로 이루어져 있다. 지방 재정 체계는 보수당의 정책 방향에 따라 개편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이 어떻게 지방 재정 체계에 반영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가 될 것이다.

 

 

미국의 정부 간 복지 재정 분담과 보조금 제도 / 윤태섭

미국은 연방주의에 따른 연방형 국가로 연방헌법에 연방정부의 기능을 명시하고 있으며 그외의 기능과 관련된 권한은 주정부가 독립적으로 행사한다. 이런 이유로, 사회복지 기능의 배분에서 주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재원 배분 측면에서는 연방정부의 보조금이 가장 중요한 지방정부의 재원이다. 1930년대 이후 연방정부가 주도적인 사회복지 기능을 수행해 오면서 사회복지 기능과 관련된 정부 간 재정 관계에서는 연방정부의 보조금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 사회복지 재정 개혁을 통해 주정부의 자율성이 확대되어 왔지만 연방정부 보조금은 여전히 주정부의 중요한 재정적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보조금을 중심으로 미국의 사회복지 기능 관련 정부 간 재원 배분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붙임) 이슈분석 각 주제별 요약

 

폴란드의 보편적 아동수당제도 ‘Family 500+’ 시행 3, 사회경제적 성과와 변화 / 고제이

본고는 폴란드 가족정책의 혁명이라 할 수 있는 ‘Family 500+’ 아동수당의 주요 내용과, 시행 3년차에 들어선 시점에서의 성과를 소개하고 우리나라 아동수당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폴란드 정부는 아동 양육 가구의 빈곤 문제 해결과 출생아 수 증가를 정책 목표로 명시하였다. 이에 따라 20164월부터 둘째아 이상 만 18세 미만의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상관없이 500즈워티(PLN)를 지급하고 있다. 이는 기존에 저소득 가구에 한정되었던 가족수당 월 지급액의 5배에 해당한다.

 

 

프랑스 복지국가의 개편 노력과 일반사회보장기여금/ 최영준·김지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복지 지출 수준이 가장 높은 프랑스는 한편으로는 지출 구조를 조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정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의 사회보험 급여와 재정 방식이 점차 다변화되는 사회적 위험에 대처하는 데 한계에 부딪힘에 따라 프랑스는 1990년대부터 일반사회보장기여금이라는 일종의 소득세를 발전시켜 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반사회보장기여금이 태동하게 된 배경과 프랑스 복지국가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고, 실제로 일반사회보장기여금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재원 마련과 관련해 프랑스 복지국가가 당면한 이슈를 제시하고자 한다.

 

 

네덜란드의 장기요양 개혁 / 이윤경

네덜란드는 고령 인구 증가, 장기요양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기존 장기요양보험인 특별의료비보장제도(AWBZ)를 건강보험법(ZVW), 장기요양보험법(WLZ), 사회지원법(WMO), 청소년법(Jeugdwet)으로 개편하는 ‘WMO 2015’ 개혁을 실시하였다. 이 개혁의 핵심 내용은 기존의 노인 돌봄 체계를 지역사회 중심 체계로 전환해 지역정부가 지역 거주 노인의 요양 및 복지서비스 필요도를 평가(assessment)하고 이를 근거로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을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돌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네덜란드에서 100년 전부터 있었던 가정간호를 부활시킴으로써 노인이 거주지 지역에서 간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5년 개혁 이후 네덜란드 노인은 지역에서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요양, 간호, 사회서비스 등을 자택(또는 지역사회 노인주택)에서 이용하며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네덜란드의 이와 같은 개혁은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을 위해 노인 돌봄 체계를 지역사회 중심 체계로 개편하고, 의료-요양-사회서비스 간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며, 가족, 이웃 등 비공식 인력을 적극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노인 돌봄 체계 개편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웨덴 장애인 돌봄 정책: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중심으로 / 요한나 구스타프손

스웨덴은 1994년에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도입했다. 이러한 개혁의 목적은 중증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같이 평범한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혁이 단행된 이후 20년간 스웨덴에서는 활동지원급여를 수급하는 장애인 수와 활동지원 수급 시간이 크게 증가했으며, 활동지원 총비용도 120억 크로나(1463억 원1))가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2015년을 기점으로 둔화하기 시작해 2년간 총수급자 수가 감소했다. 최근 몇 년간 스웨덴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 특히 제도 운용 비용에 대한 논쟁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난민이 해외 수용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박복영

최근 한국에도 난민신청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대립이 고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난민의 유입이 초래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난민 유입은 단기적으로는 재정 부담을 초래하지만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재정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대체적인 결론이다.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노동시장에서 내국인과 난민 간의 상충관계도 생각만큼 심각하지 않다. 오히려 적극적 노동정책을 통해 난민을 조기에 노동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사회보장리뷰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ihasa.re.kr) 발간자료 정기간행물 국제사회보장리뷰에서 원문을 내려 받을 수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