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자료

『국제사회보장리뷰』 2018 봄호 발간

  • 작성일 2018-04-02
  • 조회수 2,693

국제사회보장리뷰2018 봄호 발간

기획 : 높은 자살률, 그 해법을 찾아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조흥식)은 세계 주요국 사회보장제도의 동향을 빠르게 분석하고 전하는 국제사회보장리뷰2018 봄호(통권 4)를 아래와 같이 발간했다.

 

기획 : 높은 자살률, 그 해법을 찾아서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 파르토넨 핀란드보건복지연구원 연구교수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한양대 산학R&SD전략센터 연구부교수

호주의 자살 현황과 정책 동향 / 전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동유럽의 자살 현황과 동향: (), 연령 중심으로 / 페테르 베르니크, 메리케 시사스크, 아이리 베르니크(이상 에스토니아·스웨덴 정신건강·자살 연구소) 카이리 콜베스(그리피스대학 호주자살연구예방센터)

 

 

이슈분석

 

영국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의 동향 / 유동철 동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해외 기본소득 실험의 의의와 한계/ 강남훈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

미국 노인의 성생활 건강과 성적 권리 보호 / 유재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일본의 취약지 의료인력 확보 정책: ···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정아 연구원·김동진 부연구위원

미국에서의 사망률 증가와 시사점 / 김수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국제사회보장 동향

 

중국의 일·가정 양립: 정부, 기업, 지역사회의 대응 / 유멍(Yu Meng) 성균관대 박사수료

뉴욕주 최저임금 인상에 대하여 / 김태근 아델파리대 사회복지대학원 부교수

일본의 장애인 고용할당제와 장애인 고용 / 유야마 아쓰시 서울대 박사수료

자살에 대한 심리적 부검 / 김정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공공정책학 석사과정

일본의 2018년 개호보수 개정 / 김명중 닛세이기초연구소 준주임연구원

스웨덴 학교 내 차별 문제와 정부의 대응 방안 / 송지원 스톡홀름 경제대학 박사과정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전략적 자살예방 사례 / 이지현 런던정치경제대학원 환경개발 석사

 

 

(붙임) 기획 각 주제별 요약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 파르토넨

인구 550만 명의 북유럽 국가인 핀란드에서 1990년부터 자살 사망률이 확연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국가자살예방프로젝트가 추진되었는데, 자살 사망률이 자살예방 전략을 세우고 데이터 기반 자살예방 대책을 실행하던 이 시기와 맞물려 감소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는 행정 부문 간 전문적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돌봄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성공적인 자살예방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정신 장애는 자살의 주요 원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살예방의 핵심적인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사회 구성원들의 의지와 잘 조직된 서비스가 있다면 자살로 인한 사망은 예방할 수 있다.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업자, 국민 개개인의 자살예방 의무를 천명하고, 자살예방과 자살유족에 대한 지원을 강조한다. 일본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간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역 단위의 실천적인 자살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살대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보조금을 교부하고 있다. 자살예방의 주요 정책으로 지역 수준의 실천적 대책과 지원을 강화하고 적절한 정신보건의료·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였다. 또한 사회 전체의 자살 위험을 감소시키고 어린이, 청소년의 자살과 노동자의 자살에 대한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호주의 자살 현황과 정책 동향 / 전진아

최근 호주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약 10~11명 정도이다. 그런데 자살예방과 자살 시도자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비스 제공 주체 간의 역할이 모호해 호주의 자살 예방·관리 및 정신건강증진서비스의 효과에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호주는 201710월에 처음으로 정신건강계획에 자살예방계획이 통합된 5차 국가 정신건강·자살예방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고에서는 호주의 자살 현황과 제5차 국가 정신건강·자살예방 계획에 제시된 호주의 자살 예방·관리 정책을 살펴보았다.

 

 

동유럽의 자살 현황과 동향: (), 연령 중심으로 / 페테르 베르니크, 메리케 시사스크, 아이리 베르니크, 카이리 콜베스

동유럽 국가들은 20세기 마지막 20년 동안 급속한 사회·경제적 전환 과정 속에서 극도로 높은 자살률을 보였다. 예를 들어 리투아니아의 1996년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10만 명당 44.3명에 달했다. 이 기간 동유럽 국가들의 자살률은 변동 폭도 컸다. 자살률이 가장 높았던 때로부터 2000년대 들어 자살률이 감소하기까지 그 감소폭이 가장 큰 국가는 헝가리(64%)였으며, 가장 작은 국가는 폴란드(9%)였다. 또한 동유럽은 세계에서 여성 자살률 대비 남성 자살률의 비()가 가장 높다(동유럽 평균 5.0 이상, 폴란드 7.0). 자살예방 활동, 알코올정책, 경제·정치 개발의 영향 등이 동유럽 자살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호주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약 10~11명 정도이다. 그런데 자살예방과 자살 시도자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비스 제공 주체 간의 역할이 모호해 호주의 자살 예방·관리 및 정신건강증진서비스의 효과에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호주는 201710월에 처음으로 정신건강계획에 자살예방계획이 통합된 5차 국가 정신건강·자살예방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고에서는 호주의 자살 현황과 제5차 국가 정신건강·자살예방 계획에 제시된 호주의 자살 예방·관리 정책을 살펴보았다.

 

 

 

(붙임) 이슈분석 각 주제별 요약

 

영국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의 동향 / 유동철

본 연구는 영국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에 필요한 함의를 찾기 위한 것이다. 영국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은 크게 평등진료와 장소 기반 건강정책이라는 두 가지 특징으로 나뉠 수 있다. 평등진료라는 관점에서 영국의 장애인 보건의료전달체계는 비장애인 보건의료전달체계와 통합된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등진료를 위해 국민보건의료서비스(NHS) 산하 의료기관들은 평등의무, 평등계획, 평등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장소 기반 건강정책 차원에서는 거주지 중심 진료, 지역사회 자원 연계, 전문가 프로그램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거주지 중심의 근거리 통합진료기관에서 최대한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는 쪽으로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외 기본소득 실험의 의의와 한계/ 강남훈

2017년을 지나면서 기본소득 실험이 전 세계로 번지고 있다. 현재 핀란드, 캐나다, 네덜란드, 스페인, 스코틀랜드, 미국, 케냐 등에서 기본소득 실험이 진행 중이거나 준비 단계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8년 예산안에 기본소득 실험 설계를 위한 예산이 포함돼 있어서 곧 기본소득 실험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실험들 중 서로 간 그 성격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핀란드, 캐나다, 미국의 실험을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고찰이 우리나라 기본소득 실험의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서술하고자 한다.

 

 

미국 노인의 성생활 건강과 성적 권리 보호 / 유재언

본고는 사적 영역으로 간주되어 학술적·실천적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정책 지원 대상에서도 배제되었던 노인의 성생활 건강과 성적 권리에 대해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를 목적으로 최근 미국에서 부각된 일련의 노인 성생활 관련 이슈들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편견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중·고령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성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 중·고령자의 성병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이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장기요양시설 거주자나 치매 노인과 그 배우자를 위한 성적 권리 보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이슈들이 한국의 노인복지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일본의 취약지 의료인력 확보 정책: ···현 사례를 중심으로 / 이정아·김동진

일본은 2006신 의사 확보 종합대책2007긴급 의사 확보 종합대책을 세우는 등 농어촌 지역의 의료인력 확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역 의료인력 확보 정책을 단기와 장기 정책으로 나누어, 단기적으로는 임상 수련을 포함한 지역에서의 교육 지원과 지역 의료기관의 근무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의료인력의 지역 유입을 꾀하고, 장기적으로는 자치의과대학 설치와 지역정원제 운영을 통해 지역에서 근무할 의료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국방부의 공중보건의 축소 계획 발표에 따라 농어촌 의료인력 부족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농어촌 주민에게 최소한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의 의료인력 확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미국에서의 사망률 증가와 시사점 / 김수진

최근 미국 백인 중년층의 사망률이 증가한 것과 관련하여 그 기저 요인으로 박탈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교육 수준이 고졸 이하인 계층에서 사망률이 크게 증가했으며 그 주요 원인은 약물 중독이었다. 흑인이나 히스패닉의 사망률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데 유독 백인의 사망률이 증가한 것을 두고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교육 수준이 낮은 백인들의 누적된 박탈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사례는 사회구조 및 제도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건강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국제사회보장리뷰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ihasa.re.kr) 발간자료 정기간행물 국제사회보장리뷰에서 원문을 내려 받을 수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