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의 자살 동향과 해석:성(性), 연령 중심으로 | |||||
---|---|---|---|---|---|
저자 | 페테르 베르니크, 메리케 시사스크, 아이리 베르니크 | 페이지 | 36-49 | 발행년월 | 2018년 03월 |
동유럽 국가들은 20세기 마지막 20년 동안 급속한 사회·경제적 전환 과정 속에서 극도로 높은 자살률을 보였다. 예를 들어 리투아니아의 1996년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10만 명당 44.3명에 달했다. 이 기간 동유럽 국가들의 자살률은 변동 폭도 컸다. 자살률이 가장 높았던 때로부터 2000년대 들어 자살률이 감소하기까지 그 감소 폭이 가장 큰 국가는 헝가리(64%)였으며, 가장 작은 국가는 폴란드(9%)였다. 또한 동유럽은 세계에서 여성 자살률 대비 남성 자살률의 비(比)가 가장 높다(동유럽 평균 5.0 이상, 폴란드 7.0). 자살예방 활동, 알코올정책, 경제·정치 개발의 영향 등이 동유럽 자살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번호 | 보고서명 | 저자 | 페이지 | 내용보기 |
---|---|---|---|---|
1 |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 파르토넨 | 5-15 | |
2 |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 16-26 | |
3 | 호주의 자살 현황과 정책 동향 | 전진아 | 27-35 | |
4 | 동유럽의 자살 동향과 해석:성(性), 연령 중심으로 | 페테르 베르니크, 메리케 시사스크, 아이리 베르니크 | 36-49 | |
5 | 영국 장애인 보건의료정책의 동향 | 유동철 | 53-61 | |
6 | 해외 기본소득 실험의 의의와 한계 | 강남훈 | 62-70 | |
7 | 미국 노인의 성생활 건강과 성적 권리 보호 | 유재언 | 71-80 | |
8 | 일본의 취약지 의료인력 확보 정책:도·도·부·현 사례를 중심으로 | 이정아 김동진 | 81-93 | |
9 | 미국에서의 사망률 증가와 시사점 | 김수진 | 94-104 | |
10 | 중국의 일·가정 양립: 정부, 기업, 지역사회의 대응 | 유멍 | 107-114 | |
11 | 뉴욕주 최저임금 인상에 대하여 | 김태근 | 115-121 | |
12 | 일본의 장애인 고용할당제와 장애인 고용 | 유야마 아쓰시 | 122-127 | |
13 | 자살에 대한 심리적 부검 | 김정윤 | 128-132 | |
14 | 일본의 2018년 개호보수 개정 | 김명중 | 133-142 | |
15 | 스웨덴 학교 내 차별 문제와 정부의 대응 방안 | 송지원 | 143-147 | |
16 |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전략적 자살예방 사례 | 이지현 | 148-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