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용역보고서

소득불평등 심화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 효과 연구

소득불평등 심화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 효과 연구

  • 연구책임자

    강신욱

  • 발행연도

    2018

  • 페이지

    566

  • 보고서 번호

    정책보고서 2018-12

  • 발주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제1부 서론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4
    제3절 연구의 구성 5

제2부 최근 소득분배 악화의 실태

  제2장 최근 소득분배 지표 변화 현황과 추이 11

    제1절 2016년 소득분배 악화 현황 11
    제2절 소득분배 악화의 원인 16
    제3절 요약과 시사점 20

  제3장 2010년대 소득 불평등 지표 23

    제1절 연구 대상 23
    제2절 최상위 소득비중과 지니계수 23
    제3절 최상위 소득 비중에 대한 몇가지 논의 27
    제4절 2010년대 근로소득 분포의 변화 32

  제4장 개인 임금 불평등 지표 악화의 원인 45

    제1절 서론 45
    제2절 가계동향조사에 나타난 근로소득 불평등 45
    제3절 개인자료를 통해 본 임금불평등 49

제3부 기능적 소득분배 변화의 장기적 추이와 특징

  제5장 노동소득분배율 추이와 변화 요인 분석 63

    제1절 노동소득분배율 지표의 변화  63
    제2절 가계소득분배율 지표의 변화 66
    제3절 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 70
    제4절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 75
    제5절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82
    제6절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 분석: 1993~2015년 87
    제7절 주요 소득분배지표 변동의 결정요인: 1990~2016년 92

  제6장 장기불황기 일본의 불평등 변화와 최근 일본 정부의 대응 99

    제1절 들어가며 99
    제2절 장기불황 이후 일본의 불평등 심화 100
    제3절 불평등 심화의 요인과 논쟁 113
    제4절 아베노믹스와 포용적 성장 126
    제5절 맺으며 134
제4부 소득분배 변화의 추이와 특징

  제7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불평등 추이 141

    제1절 소득분배 지표 변화 현황과 추이 141

  제8장 소득-자산 결합 분포의 변화 181

    제1절 서론 181
    제2절 소득-자산 결합분포에 대한 기존 연구 182
    제3절 가처분소득과 순자산의 분포 184
    제4절 소득과 자산의 결합 분포 193
    제5절 분석 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206

  제9장 경제적 개방과 불평등 211

    제1절 자료의 개관 215
    제2절 모델 216
    제3절 분석 결과 217

  제10장 임금성장, 임금불평등과 최저임금노동자 비중 227

    제1절 서론 227
    제2절 최저임금 미만율 230
    제3절 데이터  233
    제4절 실증분석: 프라빗 분석 및 분해식 238
    제5절 결론 243
제5부 인구학적 특성별로 본 소득분배 변화 실태와 함의

  제11장 가구소득분배의 변화와 인구학적 특성의 관계 249

    제1절 머리말 249
    제2절 방법론적 검토 251
    제3절 연령대 분포의 변화 256
    제4절 연령구조 변화가 소득분배에 미친 효과 263
    제5절 소득분배에 대한 코호트 효과 274
    제6절 소결 280

  제12장 노인의 소득지위와 분배지표  283

    제1절 서론 283
    제2절 노인 소득분배에 대한 선행 연구 284
    제3절 노인의 소득분포 현황과 변화 288
    제4절 노인가구의 소득불평등도 분해 292
    제5절 소결 297

  제13장 아동가구의 빈곤율 추이와 변화 원인 301

    제1절 서론 301
    제2절 아동빈곤율 현황과 추이 303
    제3절 아동빈곤율 추이와 변화원인 307
    제4절 소결 324

  제14장 장애인의 사회구조적 불이익과 소득불평등 329

    제1절 서론 329
    제2절 장애인의 소득지위와 분배지표 331
    제3절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득 격차 분해 340
    제4절 장애인의 사회구조적 불이익과 사회적 보상 345
    제5절 소결 352

제6부 소득분배 자료의 개선을 위한 행정자료 통합 방안

  제15장 한국 행정자료 통합 357

    제1절 행정자료 통합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357
    제2절 한국 행정자료의 현황 362
    제3절 행정자료 연계에 따른 쟁점들 377
    제4절 한국 행정자료 통합 제안 379

  제16장 유럽 국가들의 행정자료 통합 및 활용 383

    제1절 유럽의 행정자료 통합 383
    제2절 북유럽 복지국가와 행정자료 통합 및 활용 384
    제3절 영국의 행정자료 통합 및 활용 402

  제17장 미국 행정자료 통합 사례 407

    제1절 미국의 행정자료 통합 사례에 대한 검토 407

제7부 소득분배 개선 정책의 효과 분석

  제18장 조세재정 모의실험모형 분석의 의의 427

    제1절 분석 목적 및 의의 427
    제2절 선행연구 430

  제19장 조세재정 모의실험모형의 개관  441

    제1절 모형의 특징 441
    제2절 소득의 정의 및 체계 446
    제3절 모형에 반영된 제도 450 
    제4절 재정패널조사자료의 특징 461

  제20장 모의실험모형을 이용한 재분배 정책 효과 분석 475

    제1절 주요 제도적 변화 및 분석 범위 475
    제2절 분야별 효과 분석 476
    제3절 종합효과 및 정책적 시사점 491

  제21장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 평가 497

    제1절 머리말 497
    제2절 최저임금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 499
    제3절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 평가를 위한 제안 504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