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어울누리 학술연구 01Multicultural society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그들의 자녀, 그리고... 한국인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 서명/저자사항
-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 윤인진 [외]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이담Books : 한국학술정보, 2010
- 형태사항
- 254 p. : 삽도 ; 23 cm
- 총서사항
- 어울누리 학술연구 01
- ISBN
- 9788926809822
- 주기사항
- 부록: 외국인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한국인 의식조사 색인: p. 252-254 참고문헌: p. 227-235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003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00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윤인진 저자와 그의 연구팀은 이주노동자의 한국경제 및 사회에 미친 영향과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사회조사 전문기관인 (주)리서치21이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2009년 2월 17일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된 제4회 아시아인권포럼에서 발표되었고, 이후 수정/보완 작업을 거쳐 '이주노동자의 한국경제 및 사회에 미친 영향과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로 제출되었다.
다문화시대에서 다수집단과 소수집단 간에 공존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조치와 국민의식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저서에서는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이주노동자, 여성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 이주아동)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들의 권리와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점을 모색하고 있다. 끝으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고 다수집단과 소수집단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다문화시대에서 다수집단과 소수집단 간에 공존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조치와 국민의식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저서에서는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이주노동자, 여성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 이주아동)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들의 권리와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점을 모색하고 있다. 끝으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고 다수집단과 소수집단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목차
책머리에
01 서 론
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과 사회문제
2.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02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 논의
2. 주요 개념
3. 선행연구 검토
4. 요약
03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조사개요
2. 인구사회학적 특성
3. 분석결과
04 한국인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태도
2. 소수인종집단에 대한 태도
3. 이주민에 대한 권리부여 인식
4. 외국인 이주자와 소수자들과의 사회적 거리감
5.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6. 한국인의 국가 자부심
05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의 실태와 공존의 모색
1. 다문화정책의 방향
2. 다문화적 소수자집단 지원정책
3. 소결
06 결론
1. 요약
2. 결론
참고문헌
부 록
색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