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귀순용사’에서 ‘북한이주민’으로
2. ‘탈북자 문제’
3. 이 책의 주요 내용
1) 북한이주민 연구의 이론적 스펙트럼
2) 재외탈북자 실태
3) 국내 북한이주민의 생활과 의식
4) 북한이주민 가족, 여성, 청소년 문제
5) 북한이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정책
4. 자료 및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1. 북한이주민 연구의 이론적 스펙트럼
1) 적응론
2) 사회적 배제론
3) 다문화론
2. 북한이주민 연구의 이론적 틀
제3장 재외탈북자 실태
1. 규모와 탈북 경로
1) 규모
2) 탈북 경로
2. 탈북동기
3. 생활실태
1) 중국
2) 러시아
3) 몽골
4) 동남아시아
4. 인권상황
5. 보호대책
1) 민간단체의 지원활동
2) 정부의 보호대책
제4장 북한이주민의 생활과 의식
1. 배경특성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사회계층적 특성
2. 경제생활
1) 고용상황
2) 소득상황
3. 사회생활
1) 사회연결망과 사회적 지지
2) 사회참여활동
4. 문화생활
5. 심리
1) 가치정향
2) 정치성향
3) 심리적응의 문제
6. 건강
1) 건강수준
2) 질병이환
3) 정신질환
7. 생활만족도
제5장 북한이주민 가족, 여성, 청소년
1. 가족
1) 결혼유형과 가족관계
2) 재외 잔류 가족
3) 법률문제
4) 부부관계
5) 성역할 의식
6) 부모-자녀관계
7) 가족탄력성
2. 여성
1) 경제생활
2) 사회생활
3) 가족생활
4) 여성으로서의 차별 경험
3. 청소년
1) 현재희망
2) 직업
3) 지원정책
4) 한국에서의 생활
5) 가족
6) 건강과 종교
7) 경제생활
8) 학교교육
제6장 북한이주민 지원정책
1. 외국의 사례
1) 서독의 이주민 수용정책
2) 미국의 난민정책 및 이민자 적응양식
3) 이스라엘 이민정책
2. 북한이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정책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2. 정책제언
1) 재외탈북자 보호정책
2) 북한이주민 정착지원정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