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164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16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제 1 장 한국가족변화의 특성과 쟁점
1. 서 론
2. 가부장적 (핵)가족의 쇠퇴 징후 : 사회.인구학적 특성
3. 쟁점 : 무엇이 '변화'하고 있는가?
4. 결론
제 2 장 가족정책의 개념과 범주
1. 가족정책의 개념
2. 가족정책의 범주
제 3 장 일과 가족생활 양립정책의 서구적 경험과 한국정책의 합의
1. 왜 일-가족양립 정책인가?
2. 일-가족 양립정책을 둘러싼 논의
3. OECD 국가의 일 - 가족 양립정책
4. 일-가족 양립에 관한 정책함의
제 4 장 한부모가족의 빈곤과 사회정책
1. 서 론
2. 한부모가족의 사회권과 빈곤
3. 우리나라 한부모가족의 현실과 사회권 진단
4. 결 론
제 5 장 가족복지실천의 근거법 분석
1. 서 론
2. 본 론
3. 결론
제 6 장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사례관리
1. 서 론
2. 선행연구
3. 사회복지관 가족서비스 유형별 사례분석
4. 건간가정지원쎈터와의 관계
5. 결론 및 제언
제 7 장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양육집단 프로그램의 현황과 대안
- 해결중심적 양육집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제 8 장 한국 가족정책의 기본법으로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 쟁점과 가족복지정책의 과제
1. 서 론
2.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의 주요 경과
3.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쟁점
4. 건강가정기본법의 한계와 가족복지정책의 전망
제 9 장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모색
1. 서 론
2.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의 요건
3. 우리나라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바람직한 모형 모색
4. 결 론
제 10 장 가족지원서비스의 방향모색
1. 서 론
2. 가족지원서비스
3.법안 비교를 통한 가족지원서비스 분석
4. 현행 가족지원서비스 내용 분석
5. 가족지원서비스의 방향 모색
6. 결 론
제 11 장 가족지원서비스의 전담인력의 자격
1. 서 론
2. 서비스 전담인력과 관련된 주요 현안 및 쟁점
3. 서비스 전담인력 자격규정의 평가원칙
4. 서비스 전담인력 자격규정 비교분석
[건강가정기본법] VS. [가족지원기본법(안)]
5.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