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 연구(3차): 취약계층의 삶을 중심으로
Qualitative Panel Data on Low-income Households (2013)
- 서명/저자사항
-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 연구(3차): 취약계층의 삶을 중심으로/ 김미곤; 염주희; 정희선; 최준영 권지성; 이은미; 정선욱; 정혜숙; 조준용; 이현주 저
- 대등서명
- Qualitative Panel Data on Low-income Households (2013)
- 발행사항
-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363p. ; 24cm
- 총서사항
- 연구보고서 2013-20
- ISBN
- 9788968270512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4219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42192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21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421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Abstract
요약
제Ⅰ부 양적ㆍ질적 혼합 연구방법론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2장 양적ㆍ질적 연계패널 구축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검토
제1절 양적 & 질적 연계 혼합 연구방법론 관련 이론 및 동향
제2절 빈곤 역동성 측면에서 양적ㆍ질적 연계 패널 구축의 필요성과 의의
제Ⅱ부 질적패널 자료구축
제3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표본추출 및 기구특성
제1절 저소득층 질적 패널가구의 표본추출
제2절 저소득층 질적 패널가구의 특성 분석
제4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자료수집과정
제1절 질적 패널자료 수집과정
제2절 질적 패널자료 수집
제3절 질적 패널자료의 구축
제4절 질적 패널자료 분석방법
제5절 질적 패널자료 연구 과정 평가 : 데이터 수집에 찬여한 코디네이터와 조사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제6절 질적 패널조사 수행 및 자료 활용시 윤리적 고려
제Ⅲ부 질적패널 분석
제5장 아동ㆍ청소년의 일상생활 패턴과 맥락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연구결과
제3절 소결
제6장 저소득 가정의 자녀양육 현상에 관한 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관련 문헌 검토
제3절 연구결과
제4절 결론
제7장 장애인(가구)의 장애 및 질병 발생으로 인한 영향과 대처 경험 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분석결과
제3절 소결
제8장 빈곤가구 한부모 여성의 자활 경험에 관한 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연구결과
제3절 소결
제9장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층이 경험한 삶의 변화와 탈빈곤 전망 : 혼합방법론을 중심으로
제1절 서론
제2절 이론적 배경
제3절 질적 분석
제4절 양적분석
제5절 결론
제Ⅳ부 양적ㆍ질적패널 활용방안
제10장 양적ㆍ질적패널 활용방안
제1절 질적 연구 자료로서의 활용
제2절 양적 패널자료의 보완과 연계로서의 질적 패널자료의 활용
제3절 질적 패널자료의 활용상 한계점
제4절 질적 패널 구축의 기대효과 및 연계 활용방안
제11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2013년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조사 조사표
부록 2. 2013년 코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