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youth leader efficacy scale)
- 개인저자
- 이원희
- 수록페이지
- 133-163 p.
- 발행일자
- 2015.08.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효능감 관련 이론과 이와 관련된 측정도구 및 청소년지도사 직무분석 등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초기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 조사를 통해 문항에 대한 적절성과 양호도를 검토하였다. 본 조사에서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규성의 가정을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 결과 4개 하위요인별 각각 7문항으로 구성된 28문항이 추출되었다. 1요인은 ‘직무 자신감’, 2요인은 ‘프로그램운영 조절효능감’, 3요인은 ‘직무 난이도선호’, 4요인은 ‘직무 귀인’이라 명명하였다.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 간 상관은 0.69∼0.81, 하위요인 간 상관은 0.34∼0.61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Cronbach’s α는 0.90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평가 결과 χ2/df는 2.304, TLI는 0.919, CFI는 0.930, RMSEA는 0.053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모형 적합도가 수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평균분산추출지수와 개념신뢰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타당화 조사를 실시하여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및 교차타당도가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 상황과 관련한 직무 수행성과를 예측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진단 및 평가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ol for Youth Leader Efficacy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scale. In the process, a youth leader efficacy preliminary scale was derived from literature on the subject of self-efficacy, self-efficacy scale tool and Youth Leaders’ jobs classifications. We then reviewed the adequacy and quality factors for the chosen items through a pilot test and the content validity according to an outside expert. In terms of the ‘Main surve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7 items being extracted for 4 respective sub-organizing factors, which resulted in 28 items in total. The correlation between Youth Leader Efficacy and the 4 sub-organizing factors is significantly positive 0.69-0.81, as well as between the sub-organizing factors 0.34-0.61. Fourthly, Cronbach’s α of all items was 0.90. The construct validity evaluation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a result of 2.304 for χ2/df, 0.919 for TLI, 0.930 for CFI and 0.053 for RMSEA, which confirmed the fact that the model fit of this research was acceptable. In the concluding sections of this pap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