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A study on the validation of Korean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dicators)

개인저자
진성희
수록페이지
195-220 p.
발행일자
2015.08.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이 연구에서는 평생진로 발달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흥미와 적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소질을 발굴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진로개발역량의 정의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외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진로개발역량의 정의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였고 개발한 진로개발역량의 구성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및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진로개발역량지수의 타당성 조사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총 28명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진로개발역량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 71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9개의 세부지표가 개발되었는데 진로설계역량의 세부지표로는 자기이해, 진로 및 직업 탐색, 진로결정능력, 여가활용역량의 세부지표로는 여가필요성 인식, 여가 조절, 여가 몰입,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는 차별화 태도, 도전정신, 위험감수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진로개발역량 및 지표는 그동안 유사 다른 선행연구보다는 사회적 변화 및 청소년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접근하고, 청소년 학계 및 청소년 관련 현장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합의를 도출된 결과이기에 보다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진로개발 관련 다양한 체험활동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리라 기대된다. Many researchers have undertaken work to develop competencies related to youth careers due to the increasingly highlighted importance of these particular areas of competence. Howeve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limitations in this previous work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chiefly the fact that such work has not reflected current you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nges. This is mainly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dealt with “career” as the notion which is focused largely on the idea of “job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aim, the indicators for assess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ere drawn up from a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they were then validated and modified by the expert review method and finally developed into two surveys targeting youth. 28 youth experts participated in the expert review. The participants comprised 333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survey and 79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econd survey. In terms of results, nine indicators were developed: self-exploration, career and job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 ability for assessing career design competency, needs for leisure, leisure control, leisure commitment for assessing leisure use, attitude for differentiation, challenge spirit, and risk-taking for assessing the pioneer spir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guidelines for developing various activities and establishing youth policies related to youth career development.
동일 권호의 다른 기사
동일 권호의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권호정보 보기
권/호
제26권 제3호 2015년 8월
발행일
2015.08.28
구독상태
기사명저자페이지내용보기
저소득층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의 학교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A life-history research on the schooling-experiences of a low-income multicultural dropout youth)전은희5-45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poverty-related risk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early adolescence: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categorical class membership)이상균47-76
독일의 이주배경청소년 직업진로 지원정책의 보편성과 특수성(Studies on education policy for adolescent immigrants in Germany: Between generality and specifics in policy)정수정77-101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정민103-131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youth leader efficacy scale)이원희133-163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
기사명저자발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