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청소년 직업가치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work values and testing the effect of determinants of adolescents)

개인저자
박민지
수록페이지
235-265 p.
발행일자
2017.02.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가정, 학교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6차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에서 고등학교 3학년(중1 패널) 중 직업가치문항에 응답한 2,056명(남1,041, 여1,015)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직업가치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한 결과 네 집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각 유형의 직업가치 요인 별 점수를 고려하여 “전반적 고중시형”(22.2%), “적성․안정 중시형(16.8%)”, “전반적 중시형”(56.8%), “내적보상 경시형”(4.2%)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 별로 영향 요인의 평균 점수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각 유형 간 영향 요인 또한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개인변인으로는 성별, 성적,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공동체 의식이, 가정변인으로는 부모의 감독적 양육방식과 애정적 양육방식, 아버지와의 진로 관련 대화 빈도가, 학교변인으로는 교우관계, 직업체험 활동의 참여 여부가 직업가치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대상의 진로상담 및 교육 시 상이한 직업가치 유형을 보이는 집단별로 대상의 개인, 가정 및 학교생활의 특성과 맥락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work valu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the profil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6th wave of data from the first-grade panel(selected 2,056 students) of middle school of the Korean Children qqqamp; Youth Panel Survey(KCY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types of profiles which were pursuing different work values were revealed: an across-the-board high pursuing type, an aptitude and stability pursuing type, an across-the-board pursuing type, and an intrinsic compensation ignored type. Following logistic regression, it was revealed that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impact upon the profiles, such as gender, academic grades,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life, community spirit, parental attitudes, conversation frequency with fath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work-related activity progra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iated career counseling services are necessar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the context of career counseling and co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