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감각자극 기반 표현예술치료가 독거 재가 장애인의 우울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Based Expressive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Disabled Living Alone at Home)

개인저자
이선형
수록페이지
258-279 p.
발행일자
2016.06.30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 재가 장애인의 우울감 감소 및 심리적 안녕감 지원을 위하여 감각자극에 기반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치료 전후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방 소도시 소재 장애인종합복지관에 등록되어 있는 독거 재가 장애인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열 명을 대상으로 12회기(회기당 120분)에 걸쳐 집단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독거 재가 장애인의 환경적·심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어깨동무, 쓰다듬기 등과 같은 촉각 활동과 함께 점토, 밀가루 등의 촉각 촉진 질료를 활용하면서 이야기 창작, 놀이, 역할연기 등의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전후에 참여자들의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우울증척도(K-CES-D)와 심리적안녕감척도(PWBS)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자극에 기반한 표현예술치료 후 독거 재가 장애인의 우울증척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pqqqlt;0.001),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qqqlt;0.001). 또한 환경통제, 개인성장, 자아수용,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과 같은 심리적 안녕감의 여섯 가지 하위 유형 중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대인관계였고 다음은 개인성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인관계나 개인의 성장 관련 요소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인들의 심리적 지원을 위해 감각자극 기반의 표현예술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raw up an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of sensory stimulation for disabled persons living alone at hom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at, we have designed an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Then, ten disabled persons living alone, registered to a welfare center in a small-sized city, were participated to this program for 12 sessions (120 minutes for a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pre-post tests were conducted using K-CES-D and PWBS. The significance of the scores’ changing between pre-post tests was verified through paired samples t-test. As results, the participants’ depres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qqqlt;0.001)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qqqlt;0.001). Among six sub-typ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hanging scores between pre-post tests were most remarkable in the two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growt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nsory stimulation based expressive art therapy was effective for reducing depression scores and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disabled persons living alone at home. However, for raising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pand the number of participant groups considering types of disabled persons and consisting of control groups in our future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