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애유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행복감과의 관계 및 영향(Relationship of Paternal Participation to Maternal Stress and Happiness in Parents of Disabled Preschoolers)

개인저자
안영혜
수록페이지
49-78 p.
발행일자
2016.0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장애유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전문 어린이집에 현재 다니고 있는 장애유아 부와 모 4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참여도 하위요인 중 함께하는 활동, 양육자로서의 책임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행복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참여도 하위요인 중 함께하는 활동, 양육자로서의 책임감이 행복감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부모의 고통, 까다로운 아동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아동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ternal participation to maternal stress and happiness in parents of disabled preschoolers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former on the latter two.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1 fathers and 241 mothers whose disabled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productive paternal role scale (Lee et al., 1998), an abridged form of a Korean version of parental stress inventory (Lee et al., 2008) and a happiness scale (Roh,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2.0,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ternal participation of the fathers who had young disabled children and the maternal stress of the mothers. Among the subfactors of paternal participation, joint activities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rearer exerted an influence on maternal stres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ternal participation of the fathers and the maternal happiness of the mothers. Among the subfactors of paternal participation, joint activities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rearer had an impact on maternal happiness.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stress and happiness of the mothers. Among the subfactors of maternal stress, happiness wa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ain and fastidious young children, and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 exercised no influence on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