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유아(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Teacher Interactions on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개인저자
이예진
수록페이지
1-18 p.
발행일자
2016.1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에 조사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아 1,16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연구방법은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22.0 프로그램과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감소하며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질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teacher interactions on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For this study, the data of the 6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in 2013, collected from 1,163 5-year-old attending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heir teacher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2.0 and SPSS-WIN 18.0.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teacher efficacy was related to a low level of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and greater child-teacher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full spectrum of the child-teacher interactions mediating effects were seen to influ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