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음률영역에서 나타난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The Meaning of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Appearing at Music Play Center During the Free Center Play)
- 개인저자
- 여선옥
- 수록페이지
- 23-44 p.
- 발행일자
- 2017.03.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시간 음률영역에서 나타나는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K시에 있는 D어린이집의 만4세 샘물반 유아 12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관찰일지와 면담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률영역에서 유아들은 음악을 직접 선택하고 음악적 지식과 정보를 또래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률영역에서 유아들은 음악을 통해 느끼는 감정과 아름다움을 서로 전달하고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가르치는 음악교수가 아닌 유아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또래 간 교수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peer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appearing at the music center during the free center play in a young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ion. To this end, we observed a class called Spring Water for four years daycare center D located in Gyonggi-do. The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twelve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fter analyzing the observation journal, the research journal, and the interview data, w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usic play center showed the activity of peer tutoring while the young children selected music and provid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one another. Second, young children delivered and learned feel from the music activity and how to express the beauty of music to each other. The meaning of peer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emerging in the music play center is not just one directional delivery of musical knowledge, information, feeling, and emotion. Instead, the young children shared what they know and enjoyed together in the limited time an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