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통한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연구(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ild-Teacher Interactions and Peer Interactions Based 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개인저자
윤수정
수록페이지
75-95 p.
발행일자
2017.03.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만 4세-6세까지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지속성 및 상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지속성과 변인들끼리 서로 미칠 수 있는 종단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세-6세 유아와 담임교사 634쌍으로서,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data 중 2012년부터 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18.0 Program과 AMOS 22.0 Program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는 또래상호작용은 만 4세부터 만 6세까지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둘째,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만 4세부터 만 6세까지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셋째,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이후 시점의 또래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교차된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놀이방해는 이후 시점의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통하여 유아기의 유아가 나눌 수 있는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의 시간적 변화와 발달은 질 높은 상호작용의 교육 및 프로그램,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intenance and effects of child-teacher interactions and peer interactions based 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from the Panel Study on KICCE(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Education), which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of the fourth through sixth longitudinal panel data beginning 2008.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AMOS 22.0 program and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 indicated the child-teacher interactions and peer interactions continued stability age 4 to 6. Specifically teacher-child interactions peer interaction, and play disruption child-teacher interactions after that time. Th study result suggested the necessity of study constantly, and high quality education or program about interactions with teacher or p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