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관계연구(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and Early Child’s Behavior Problem Using Latent Growth Model: 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Values)

개인저자
김춘경
수록페이지
33-56 p.
발행일자
2017.09.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통제적, 온정적), 유아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의 변화양상과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양육행동(통제적, 온정적)의 종단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실시하였다. 첫째,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우울과 양육행동, 문제행동 변인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증가하였으며,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우울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aspects of change in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control/warmth), child's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externalizing) and examined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by parenting behaviors (control/warmth)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early child's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externalizing). In order to analyze this effect, Latent Growth Model was adapted to KICCE's data. First, the results analyzed by the Latent Growth Model indicated that mother's control parenting behavior was increased by the time, while warm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problem behavior(internalizing/externalizing) were decreased. Second, the results analyzed by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indicated that mother's depression effected on child's problem behavior mediated by warm parent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