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고정관념, 교직인성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tereotypes and Teaching Ethics on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 개인저자
- 김정희
- 수록페이지
- 79-100 p.
- 발행일자
- 2017.09.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서울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고정관념과 교직인성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고정관념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은 다문화 교육태도 전체와 하위변인 일부에서 각각 부적 영향력과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의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은 다문화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에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도덕성과 사회성, 소명의식, 열정, 교육적 신념은 다문화 교육태도의 일부 하위요인에서 각각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tereotypes, teaching eth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stereotypes, negative perception and positive perception, showed a negative influence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overall attitud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subfactors, respectively. Second, self-regu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thics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the role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Morality and sociality, vocation, enthusiasm and educational belief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some of the subfactors of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