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새정부 주요 복지정책 추진에 따른 국가와 지방의 재정부담 전망과 평가(Projection and Evaluation of the Financial Burden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New Government Welfare Policy -Focusing on Local Governments in Seoul, Busan, Daegu, Chungbuk, and Gyeongbuk-)

개인저자
신우진
수록페이지
65-94 p.
발행일자
2018.05.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복지분야 주요 국정과제 추진에 따라 국가와 지방의 재정부담이 얼마나 늘어나는지 전망하고 그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2022년 동안 지역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하여 기초연금, 영유아보육료,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주요 복지사업의 국비와 지방비 부담 규모, 특히 서울, 부산 등 일부 지역 본청 및 기초자치단체의 지방비 부담 규모를 추계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재정력이 열악한 일부 자치단체에서 향후 지방비(시군구비) 부담 증가율이 세입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비 부담이 급증하는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재정력을 고려한 부담 경감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increase in financial burde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new government's major welfare policies and to derive their implications. First, we estimated central and local financial burden of major welfare policies such as basic pension, child care subsidy, home care allowance, child allowance, livelihood benefit, medical benefit and housing benefit considering the change of regional population structure during 2017~2022. Second, we also estimated the Metropolitan City/Province's and City/County/Autonomous District's burdens in Seoul, Busan and other regions which provide population projections of their lower level governments. As a result, it is predicted that the growth rate of the local government welfare expenditure will be much higher than the annual growth rate of revenue in some local governments with relatively poor financial capacity.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reduce the burden considering the financial capacity for local governments whose burden of local welfare expenditures is increasing rapi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