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Household's Economic Status on the Childbirth)

개인저자
김선숙, 백학영
수록페이지
129-157 p.
발행일자
2014.09.30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가구의 경제적 여건, 즉 소득과 자산 등의 경제적 수준에 초점을 두고 첫째 자녀, 둘째 자녀, 셋째 이상 자녀 출산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소득계층별 차별화된 지원 정책 마련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여성의 출산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복지패널에 의해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차에 걸쳐 측정된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차년도의 20세~49세의 기혼여성을 기준으로 매년 20세~49세의 연령대에 진입하는 기혼여성을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 둘째 자녀, 그리고 셋째 자녀 이상의 출산에서 각기 다른 영향요인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경제적 수준의 영향도 출생자녀의 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which make people have the first child, second one and the third and more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d on household`s economic status measured by its income and wealth. The study employed 7-year longitudinal data from 2005 to 2011 provided by Korea Welfare Panel,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household`s economic status and female childbirth decisions. The target group of the study was 20-49year-old married women which was constructed by adding 20-49 year-old married women of each panel year to the corresponding group of the first panel year. We found that different factors influenced women`s childbirth decision am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d more children. Moreover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influences of household`s economic status were different from each childbirth decision according to its order. Base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the need to deliver childbirth support policies differentiated by people`s economic str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