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사회적 재난으로서 허리케인 카트리나: 정부 실패와 위험 불평등(Hurricane Katrina as Unnatural Disaster: Government Failure and Inequality of Risk)

개인저자
고동현
수록페이지
83-119 p.
발행일자
2015.01.23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이 글은 2005년 8월 미국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 사례를 통해 재난 발생과 복구 과정에서 어떤 정치사회적 기제가 작용했는지를 분석한다. 카트리나는 ‘정부 실패’와 ‘위험 불평등’이라는 이중의 실패를 드러낸 사례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재난관리시스템의 문제로서 연방정부와 주/지방정부 간에 협력체계가 무너진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연방재난관리청(FEMA)이 9.11 이후 조직과 권한이 축소된 점이 재난대응 실패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둘째, 미국사회의 빈곤과 인종 문제가 취약계층에게 위험이 집중되는 불평등 문제를 초래했음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주거, 복지, 교육 등 공공정책이 흑인과 빈곤층에 대한 배제적 정책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카트리나는 ‘이중의 실패, 절반의 복원’이라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것은 미국사회의 공공성이갖는 복합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재난관리 거버넌스의 재구축 과정은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주지만, 위험 불평등의 지속과 공공적 접근의 약화는 공공성이 매우 취약한 기반 위에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 거버넌스 역량을 확대하는 한편, 공공정책 강화를 통해 재난의 사회적 취약성을 해소하고 사회적 복원력을높이기 위한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the disaster caused by Hurricane Katrina inAugust 2005 the US case. Katrina is the case exposed the double failure of‘government failure’ and ‘inequality of risk’. First of all, I have an issue dealing with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analyze how the cooperation between thefede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collapsed. Second, I analyze howthe damage was concentrated to blacks and poor people. In addition, I point outthat the public policies such as housing, welfare, and education policies are workingas exclusive policy for them. Katrina shows that the publicness of American society has a complex nature. Therebuilding proc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shows the power of US democracy. However, the inequality of risk that remains unresolved shows the vulnerability ofthe publicness. Therefore, disaster management does not mean just to increase theorganizational capacity and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We need to enhancethe social resilience to disasters by developing public policies to address the socialvulner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