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학교폭력 출현에 관한 포스트모던적 담론(Postmodern discourse on the emergence of school violence: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who have preschool or school children)

개인저자
오경희
수록페이지
483-501 p.
발행일자
2018.08.28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에서 아동기에로의 전이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 출현 양상을 기술하고, 이를 담론화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참여자로는 초등학교 입학 전⋅후 자녀를 둔 7명의 엄마들로,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범주화와 해석의 순환적 과정을 통해 폭력현상을 기술하고 포스트모던적 접근을 통해 담론화하였다. 결과: 먼저, ‘아동들의 폭력성 출현’에서, 유아들은 당연성과 일상성 그리고 재현과 닮음의 특성을 보였으며, 초등학생들은 또래집단 형성과정에서 미시적 권력구조를 보였다. 이는 초등학교 2학년 남아들의 권력놀이와 여아들의 댄스 동아리 활동을 통해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들의 폭력성 출현’에서, 유아교사들은 ‘내면화의 공포’ 유발자로, 감정조절장애 또는 페르소나 교사로서의 특성을 보였으며, 초등교사들은 ‘감정 이기주의자’로, 네크로필라형 교사 또는 진정한 교사되기를 포기한 교사들의 특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교육적 민감성을 키워야 하며, 이를 위해 담론 형성이 다각적 차원에서 시도되어야 할 과제임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how school violence first occurred in the transition from infancy to childhood, and construct a discourse on it. Methods: In order to collect data, we interviewed seven mothers with preschool or school children. We categorize and interpret the data recursively to describe the phenomenon of violence, and construct a postmodern discourse on it. Results: First, regarding the emergence of school violence of children, we found that infants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like naturalness and routine, and representation and resemblance. In addition, we found the micro-power structure that elementary students made while building up their peer group, which is manifested in the power play between second grade boys and the dance club activities of girls. Second, regarding the emergence of school violence of teachers, we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induced the ‘fear of internalization’. They are mostly had an emotional disorder and can be characterized as a persona teacher. Furthermore, we found that elementary teachers were ‘emotionally selfish’. They often gave up being a good teacher and can be characterized as a necrophily teacher.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sensitivity to school violence should be raised and that discourse formation should be tried in various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