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아동 놀권리의 관점에서 본 영국 놀이전문가(playworker) 양성과정(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and training courses for playworkers in the UK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to play)

개인저자
장영인
수록페이지
383-406 p.
발행일자
2018.08.28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국 놀이전문가(playworker) 양성과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에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방법: 놀권리의 관점에서 영국 놀이전문가 양성과정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놀이전문가 양성과정(총 4개 레벨의 9개의 하위과정)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과 60개의 교과목이다. 결과: 영국은 아동중심의 놀이이론과 실무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즉 양성과정은 놀권리의 관점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무의 실질적 통합을 위한 세심한 교과목 구성과 배치를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자격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훈련시간, 점진적인 심화학습과정, 실무역량 중심의 평가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결론: 영국 놀이전문가 양성과정은 아동의 놀권리를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 내용과 훈련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놀이실무자 양성과정의 설계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y worker in the UK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nd to obtain implications in Korea.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ght to play, the curriculum of the play specialist training course in the U.K. has been analyze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curriculum (9 sub-programs with a total of 4 levels) and 60 subjects provided by the course. Results: The UK has a curriculum to train professionals with child-centered play theory and practical skills. In other words, the training process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right to play, and features a carefu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for practical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order to ensure the qualification of the professionalism, sufficient training time, progressive intensive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 focusing on practical capability were operated. Conclusion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play experts in the UK based on the Play rights, we were able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courses for the promotion of play-related practitioner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