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아기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이 가정환경의 질과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Quality of home environment and mathematical interaction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view about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개인저자
이은지
수록페이지
527-544 p.
발행일자
2018.08.28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정환경의 질과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333명을 대상으로 편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가정환경의 질과 수학학습관점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수학학습관점은 가정환경의 질과 수학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유아의 수학학습을 바라보는 어머니가 가정환경의 질이 수학적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관련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올바른 가정수학학습 환경 조성을 통해 아동의 인지 발달을 위한 권리를 보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nd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whether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moderates the influence of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on mathematical interactio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33 mother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centers. partial correlations, moderator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athematical interaction.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Conclusions: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mathematics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t can strengthen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on mathematical interactio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guarantee children’s right to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to make mor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home environment for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