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중다대응분석(MCA)을 통한 고3 시기 불평등의 다차원 맵핑(Mapping) : 사회위계와 학교유형, 학업, 사회자본, 문화자본, 의식관의 불평등 지형도(Multi-dimensional mapping of inequality during senior high school period through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 The maps of social hierarchy, highschool type, social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consciousness)

개인저자
이왕원
수록페이지
81-117 p.
발행일자
2014.08.31
출판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4차(2007) 자료를 활용하여 고3 학생들의 삶의 단면들을 교육계층화와 불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다수의변수들을 몇 개의 축을 중심으로 요약·시각화하는 중다대응분석(MCA)를 활용하였다. 이는 위계화 된 대학 학벌을 중심으로 사회·직업적 보상이 평가되는 한국사회에서 대입을 준비하는 고3 시기를 다면적(多面的)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 한국사회의 고3 시기는 학생의 개인적 능력과 노력뿐만이 아니라, 가정의 자원과 전략이 ‘대입’이라는 묵시적 목표를 향해 집중되는 시기로, 사회구조적 불평등은 학생들의 교육현장과 삶에서 총체적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출이 직접적으로드러나는 고3 시기 삶의 단면들을 학교유형, 가정, 학업, 사회, 문화, 의식관의 다섯차원에서 살펴봄에 목적을 둔다. 각 차원의 분석결과들은 사회구조적 위계가 학생들의 삶의 단면들 전반에서 중첩·상응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양상을보여준다. This research referred to the 4th-year material of the KEEP investigation toexamine high school senior students’ life in terms of educational inequality. In thisresearch, I employed the MCA(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hich summarizesand visualizes multiple variables centering on several axes. This is to take amulti-dimensional and detailed view on each aspect of any educational inequality inthe senior high school year.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nto aspects of seniorhigh school year in terms of following 5 dimensions: type of school, socioeconomicbackground of family, academic performance, social capital, cultural capital andconsciousness. It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university admission has veryserious social-family-personal effects in the Korean society, where social and careerrewards tend to be decided by the order of university hierarchy. The empiricalfindings of the MCA analysis show the map which multi-dimensional inequality inKorean educational dimension are overlap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