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중등교육기간 사교육이 대학학업과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Occupational and Academic Performance)
- 개인저자
- 곽수란
- 수록페이지
- 109-135 p.
- 발행일자
- 2016.04.30
- 출판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3시기의 사교육이 대학학업과 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고교시기 투입된 사교육비와 사교육이 입시에 도움을 준 정도가 대학학업과 대학 졸업 후 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인과관계로 추정하였다. 특히 고3시기의 사교육과 대학과정 그리고 직업활동에 대한 맥락이 다른 인문계와 전문계, 남성과 여성 집단에 따라 각각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이며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 대학학업, 직업활동 간 인과관계 맥락은 계열 및 성별에 따라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중등교육 시기의 사교육이 대학학업과 직업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사회 사교육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실증적인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academic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using the 1st and 11th-wave data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It is hypothesized that there are causal relations among private tutoring,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 workplace.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s gender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two types of high school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analysis by the LISRE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causal relations among private tutoring and academic and occupational performances depending on high school typ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empirical data to help Korean society cope with the issue of private tu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