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현장실습 운영 개선에 대한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Operational Improvements of On-The-Job Training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개인저자
이병욱
수록페이지
25-51 p.
발행일자
2015.04.30
출판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국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취업 담당 부장 교사 456명과 교장 351명, 총 8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교원들의 인식에 기초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상황에서의 현장실습 운영 개선 방안으로는 우수 산업체의 참여 유도, 현장실습 질 관리 체계 구축, 단위학교 취업 업무 개선, 정부의 학교 취업 성과 평가 방안의개선, 현장실습 관련 법규 보완 등이 요구된다. 둘째, 현장실습 산업체 선정을 위해서 근무 환경, 직무와 학생 개인 특성과의 부합성, 학생의 발전 가능성, 직무와 학생 전공과의 부합성 등을 고려하고 산업 분야별 협회, 공공기관 및 정부의 산업체 발굴 및 산업체 사전 정보 획득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현장실습에서 산업체가 학생에게 제공할 교육으로는 기초적인 조직 이해 교육, 기초 실습 교육, 심화 실습 교육, 다양한 직무 수행 기회 제공 등이 요구되며, 현장실습을 위한 교원 연수로는 산업체 이해 연수, 산업체 직무 연수, 노동시장 이해 연수, 산업안전보건 및 근로관계법 연수, 직업 상담 관련 연수, 재직자 경력 발달 경로 이해 연수등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with better improvement plans of the on-the-job training(OJT), in order to achieve the qualitative growth of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56 head teachers and 351 principal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courage the engagement of advanced industries, establish the OJT quality management system, improve the work environments in employment departments of individual high schools, improve the government’s school employment evaluation standards, and supplement OJT-related regulations. Second, support from various industrial associations, the government and other public sector institutes is necessary to search for more industries and obtain prior information on them. Third, various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implemented to broaden students’ knowledge on industries and enhance OJT operational capabilities of th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