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모노그래프 66
순응과 저항을 넘어서: 이승만과 박정희의 대미정책
Beyond compliance and resistance : the policies of syngman Rhee and Park Chung Hee toward the United States
- 서명/저자사항
- 순응과 저항을 넘어서= 이승만과 박정희의 대미정책/ 신욱희
- 대등서명
- Beyond compliance and resistance : the policies of syngman Rhee and Park Chung Hee toward the United States
- 개인저자
- 신욱희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 형태사항
- 130 p. ; 23 cm
- 총서사항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모노그래프 66
- ISBN
- 9788952111388 9788952110275 (세트)
- 주기사항
- 색인: p. 125-127 참고문헌: p. 111-120
책 소개
한국의 관점에서 본 대미정책
이 책은 이승만과 박정희 시대의 한미관계를 한국의 대미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한 내용으로 이전의 책들은 미국의 대한정책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 책은 한국의 대미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연구가 분석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분석하였다. 특정한 두 사례 이승만, 박정희 시기의 대미정책을 일반화하고, 당시 한미관계가 갈등을 보였던 원인의 주요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방법론적으로 보면, 한편으로는 사료연구를 통한 역사학적 접근과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을 연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지변수를 통한 심리학과 국제정치학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시도한다.
한미관계의 역사적 사례를 이론과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 특히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 시기 한미관계에서 벌어졌던 갈등을 동맹게임의 이론틀과 정치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설명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동안 대체로 한국 국제정치학계가 외국 이론을 소개하는데 머물렀던 데 비해, 이론들을 소화하여 한국의 사례에 적용하고, 외교관계를 바라보는 기본틀로 정립시키려고 하였다..
본문 구성을 보면 1장 이론과 방법론, 2장 개념과 변수, 3장 역사와 사례, 4장 현재와 정책으로 나뉘었다. 3장에서는 이승만과 한일회담, 박정희와 주한미군철수를 각각 사례로 다루었다.
이 책은 이승만과 박정희 시대의 한미관계를 한국의 대미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한 내용으로 이전의 책들은 미국의 대한정책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 책은 한국의 대미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연구가 분석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분석하였다. 특정한 두 사례 이승만, 박정희 시기의 대미정책을 일반화하고, 당시 한미관계가 갈등을 보였던 원인의 주요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방법론적으로 보면, 한편으로는 사료연구를 통한 역사학적 접근과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을 연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지변수를 통한 심리학과 국제정치학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시도한다.
한미관계의 역사적 사례를 이론과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 특히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 시기 한미관계에서 벌어졌던 갈등을 동맹게임의 이론틀과 정치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설명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동안 대체로 한국 국제정치학계가 외국 이론을 소개하는데 머물렀던 데 비해, 이론들을 소화하여 한국의 사례에 적용하고, 외교관계를 바라보는 기본틀로 정립시키려고 하였다..
본문 구성을 보면 1장 이론과 방법론, 2장 개념과 변수, 3장 역사와 사례, 4장 현재와 정책으로 나뉘었다. 3장에서는 이승만과 한일회담, 박정희와 주한미군철수를 각각 사례로 다루었다.
목차
머리말
I. 이론과 방법론
II. 개념과 변수
1. 순응, 저항, 구성
2. 역할구상과 위협인식
III. 역사와 사례
1. 이승만과 한일회담
2. 박정희와 주한미군철수
IV. 현재와 정책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