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연구총서 38
정조와 정조시대
King Jeongjo and His Reign
- 서명/저자사항
- 정조와 정조시대/ 김인걸, 문중양, 배우성, 한상걸, 박현순, 정재훈
- 대등서명
- King Jeongjo and His Reign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 형태사항
- 248 p. : 삽화 ; 24 cm
- 총서사항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연구총서 38
- ISBN
- 9788952110282(세트) 9788952111876
- 주기사항
- 색인 : p. 239-246 참고문헌 : p
책 소개
정조의 참모습은 무엇일까? 정조시대에는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정조와 정조시대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 가운데 중요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아 앞으로의 연구에서 참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시각이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정조와 정조시대에 관해‘자아인식’을 지표로 삼아 본서의 1부에서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 2부에서는 정조와 조선국가 이해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총론: 정조와 그의 시대
1. 왜 정조시대인가?
2. 본서의 구성과 내용
3. 정조시대 연구의 의의
제1부 시간과 공간 인식
II. 18세기 후반 조선 과학의 역사 시간 / 문중양
1. 왜 조선과학의 역사 시간을 묻는가?
2. 동아시아 과학의 역사 시간: 중국과 일본
3. 『역성고성』 체제의 완성과 본국력의 확립
4. 조선의 과학담론과 지향
5. 근대의 언저리에서 서성대는 조선의 과학
III. 공간에 관한 지식과 정조시대 / 배우성
1. 18세기 지리지식 연구현황과 과제
2. 정조의 공간관
3. 정조시대 공간지식의 특징적 양상
제2부 ‘조선 인식’과 국가운영
IV. 정조의 ‘국체’ 인식 / 김인걸
1. 조선의 국체(國體)와 ‘국체’ 인식
2. ‘중화질서’에서 조선의 지위
3. ‘조선중화론’의 국체 인식
4. 정조의 ‘국체’ 인식
5. 상대적 문화자존의식과 전통의 계승
V. 정조의 군주론과 왕정 / 한상권
1. 군주론
2. 왕정
VI. 정조대 서울·지방의 분화와 지방사족의 등용 / 박현순
1. 서울과 지방의 분화
2. 지방사족의 등용
VII. 18세기 국가운영체제의 재정비 / 정재훈
1. 조선후기 국가운영과 정조시대
2. 18세기 국가운영 관련 연구의 검토
3. 국가운영의 사상적 기초에 대한 전망
4. 국가운영론의 재정비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