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활정책 아카이브

  1. 메인
  2. 자활정책 아카이브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신빈곤을 통해 본 양극화시대의 빈곤문제

카테고리
일반
제공처
DBpia
다른언어제목
Toward the Welfare Politics of Alleviat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 An Analysis of the Causes, Realities, and Policies of the New Poverty in Korean Society
키워드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양극화, 신빈곤, 근로빈곤층, 복지정치
저자
박보영
출판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발행연도
2010.
페이지
5-45
URL
활용동의
미동의
요약
외환위기 이후 우리사회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로 전환되면서 우리의 삶은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단행된 대규모 구조조정과 아웃소싱, 신자유주의적 개혁정책은 비정규직과 임시직, 일용직 등을 양산하였고, 그 결과 우리사회의 고용불안정과 계층간 소득격차는 심화되었다. 양극화 문제가 우리사회의 커다란 이슈로 떠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는 양극화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위기로 고용사정이 급격히 악화되고 서민들의 생활고가 심화되었으며 계층간 소득격차는 사상 최대로 벌어졌다. 그 결과 금융위기 이후 양극화시대의 대표적 사회문제이자 빈곤양상이라 할 수 있는 신빈곤층, 특히 근로빈곤층 같은 고용취약계층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현상의 주요 원인과 특성은 무엇이며, 우리는 현재 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이 글은 우리사회 신빈곤의 원인과 성격, 대책을 논의한다. 먼저, 신빈곤 문제가 왜 양극화시대 빈곤문제의 주요 특질인지, 그리고 왜 이 문제에 시급히 대처해야 하는지를 개관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신빈곤의 구체적인 양상과 이에 대한 정부 대책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신빈곤 해결의 제도적 기제로서 복지정치가 어떤 의미와 기능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