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간행물
자활후견기관의 조직관련 특성이 조직성원의 근무지향에 미치는 영향
- 카테고리
- 일반
- 제공처
- 한국개발연구원
- 다른언어제목
- A Study of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Peculiarities of the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ies on the Work Orientations of Their Staff Members
- 키워드
- 자활후견기관, 근무지향, 직무만족, 조직몰입, 복잡성, 공식화, 분권화
- 저자
- 이형하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발행연도
- 2005.
- 페이지
- 1-28
- URL
- 활용동의
- 동의
요약
본 연구에서는 자활후견기관 조직성원의 근무지향 정도와 조직관련특성이 근무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74개의 자활후견기관의 조직성원중 244명의 응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근무지향의 척도는 하위변인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각각 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자활후견기관 조직성원들은 낮은 수준의 직무만족(5점만점에 2.49점)과 조직몰입(5점만점에 2.40점)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자활후견기관 조직성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개인과 조직특성요인중 근속년수가, 조직의 구조적특성요인중 복잡성과 분권화가, 조직기술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자활후견기관 조직성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개인과 조직특성요인중 나이가, 조직의 구조적특성요인중 복잡성과 공식화 그리고 분권화가, 조직기술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관리상의 제언으로 첫째, 조직구조적 특성요인중 복잡성의 근무지향에 대한 부(-)적인 영향력은 자활후견기관의 직제규정에 있어 사업단수에 따른 인력의 추가적인 충원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둘째, 의사결정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조직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동시에 조직성원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에 따른 책임성 평가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기술변인이 근무지향에 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어 향후 자활후견기관의 조직성원의 수급자에 대한 다양한 변화기술을 통한 개입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슈퍼비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