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기관 역사 기관 변천사

기관 변천사Milestones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70년 설립된 국립가족계획연구소를 계승하여 1971년 『가족계획연구원』으로 출범한 이후 1976년에 설립된『한국보건개발연구원』과의 통합을 통해 1981년『한국인구보건연구원』으로 발족하였다. 이후 보건사회부 소속『사회보장심의위원회』의 연구기능을 흡수하여 1989년『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1999년에 이르러서는 보건복지부 소속의 연구기관에서 국무조정실『경제인문사회연구회』소관 연구기관으로 이관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89.
  ~ 현재.

한국보건사회연구원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종합적 보건복지정책 연구기관으로의 도약과 사회정책을 선도하는 싱크 탱크로서의 위상 확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전신인『한국인구보건연구원』의 기능을 승계하고 보건사회부 소속의『사회보장심의위원회』연구기능을 이관 받아 종합적 보건복지 정책 연구기관으로 설립되었다. 또한 설립목적을 “국민보건, 의료, 사회보장과 인구문제 및 이와 관련된 보건사회관계 제부문의 과제를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보건사회정책의 수립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로 변경하였다.
1999년 1월 29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이 공포되면서 국무조정실『경제인문사회연구회』소관의 연구기관으로서 새로운 역사를 시작하였으며 보건복지 부문의 주요 영역에 대해 증거기반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관련 정책의 장단기 계획 수립‧추진에 요구되는 정책연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관련 법령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일부개정(04181)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일부개정
    (0418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일부개정(137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일부개정
    (13738)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개정(144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개정
    (14438)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개정(14446)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개정
    (14446)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일부개정(04851)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일부개정
    (0485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타법개정(04980)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타법개정
    (0498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일부개정(14979)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일부개정
    (1497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타법개정(05454)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타법개정
    (05454)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개정(157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개정
    (15732)
  •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05733)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
    (0573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타법폐지(057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 타법폐지
    (0573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폐지(16093)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시행령 타법폐지
    (16093)

기관 로고

  • 1989 ~ 2008년
  • 2009 ~ 2019년
  • 2020 ~ 현재
  •  
  • 2011년
  • 2021년
  •  
  •  

브로슈어

  • KIHASA 영문 브로슈어(2003년)
  • KIHASA 영문 브로슈어(2006년)
  • KIHASA 영문 브로슈어(2010년)
  • KIHASA 국문 브로슈어(2010년)
  • KIHASA 영문 브로슈어(2014년)
  • KIHASA 국문 브로슈어(2014년)
  • KIHASA 영문 브로슈어(2016년)
  • KIHASA 국문 브로슈어(2016년)
  • KIHASA 영문 브로슈어(2018년)
  • KIHASA 국문 브로슈어(2018년)
  • KIHASA 국문 홍보핸드북(2020년)

설립 배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설립은 전신인 『한국인구보건연구원』의 업무내용과 기능을 보완하고 보건사회부 소속의 『사회보장심의위원회』 연구기능이 『한국인구보건연구원』으로 이관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제기되어 이루어졌다. 『한국인구보건연구원』은 1981년 지역의료보험 시범사업 실시와 함께 의료보험 관련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1986년부터는 국민연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등 사회보장 연구를 부분적으로 수행해 왔다. 그러나 그간의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라 사회복지에 관한 국민이 욕구가 증대되면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연구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것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설립의 주요한 요인이었다... 자세히 보기   

주요 기능

『한국보건사회연구원법』에서는 『한국인구보건연구원법』에 되었던 인구 및 보건에 관한 조사연구 외에 “사회보장에 관한 조사연구”업무를 포함하도록 그 목적과 업무 범위를 조정하였다(제2조 및 제4조). 이에 따라 “인구문제와 국민보건 전반에 관한 제도발전 및 이와 관련된 제부문의 과제를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게 함으로써 국가의 인구정책 및 보건정책의 수립에 기여한다”로 설정되었던 설립목적을 “국민보건, 의료, 사회보장과 인구문제 및 이와 관련된 보건사회관계 제부문의 과제를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보건사회정책의 수립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로 변경하였다... 자세히 보기   

연구 활동

1990년대 전반은 보건의료 부문 정책연구로서 인구고령화에 대비한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서비스 확충, 의료수요 증대에 따른 지역 간 의료자원 분포 적정화, 공공 보건의료기관의 효율성 제고, 질병양상의 변화에 따른 보건의료 서비스 및 제도 개선, 의약품 및 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 등에 중점을 두었다. 사회복지 부문 연구로는 의료보험‧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안정화 및 내실화 방안,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 확충 등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사회복지제도 구축과 복지욕구 증대에 따른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 및 사회보장제도 확충 등에 중점을 두었으며, 인구부문에서는 저출산‧인구고령화 등 인구 전환과 사회경제적 여건에 부응한 새로운 정책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자세히 보기   

연구관련 사업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정부의 정책결정을 지원하는 각종 위원회 활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보건복지부는 각종 정책위원회를 운영하면서 그 사무국을 대부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두고 정책대안 개발‧제시 등 연구지원과 행정적 지원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수행 과정에서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각계의 의견수렴 등을 위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세미나‧워크숍‧공청회 등을 개최하였다... 자세히 보기   

조직 및 예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출범과 함께 정원이 166명에서 170명으로 증원되었으며, 전체 인력 중 연구 인력은 94명이었다. 1991년 당시 연구조직으로는 인구문제연구실, 가족계획연구실, 보건제도연구실, 보건관리연구실, 의료보험연구실, 복지의료연구실 등 6개실이 있었으며, 연구조정담당, 기술협력담당, 자료통계당 담당 등 3개 담당으로 구성되는 기획조정실이 있었다. 이외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국이 있었다... 자세히 보기   

관련 자료

  • 1989 KIHASA RESEARCH ABSTRACT 1989 KIHASA RESEARCH ABSTRACT
  • 1990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1990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 1991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1991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 1992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1992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 1993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1993년도 연구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 1994년도 연구결과 요약보고 1994년도 연구결과 요약보고
  • 1994 SUMMARY REPORT OF KIHASA 1994 SUMMARY REPORT OF KIHASA
  • 1995년도 연구결과 요약보고 1995년도 연구결과 요약보고
  • 2008년 연차보고서 2008년 연차보고서
  • 2008 Annual Reports 2008 Annual Reports
  • 2009년 연차보고서 2009년 연차보고서
  • 2009 Annual Reports 2009 Annual Reports
  • 2010년 연차보고서 2010년 연차보고서
  • 2010 Annual Reports 2010 Annual Reports
  • 2011년 연차보고서 2011년 연차보고서
  • 2011 Annual Reports 2011 Annual Reports
  • 2012년 연차보고서 2012년 연차보고서
  • 2012 Annual Reports 2012 Annual Reports
  • 2013년 연차보고서 2013년 연차보고서
  • 2013 Annual Reports 2013 Annual Reports
  • 2014년 연차보고서 2014년 연차보고서
  • 2014 Annual Reports 2014 Annual Reports
  • 2015년 연차보고서 2015년 연차보고서
  • 2015 Annual Reports 2015 Annual Reports
  • 2016년 연차보고서 2016년 연차보고서
  • 2016 Annual Reports 2016 Annual Reports
  • 2017년 연차보고서 2017년 연차보고서
  • 2017 Annual Reports 2017 Annual Reports
  • 2018년 연차보고서 2018년 연차보고서
  • 2018 Annual Reports 2018 Annual Reports
  • 2019년 연차보고서 2019년 연차보고서
  • 2019 Annual Reports 2019 Annual Re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