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와 디지털 활용의 논점: 『보건사회연구』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Issues on Digital Utilization of Health and Welfare: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보건복지 영역에서도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접촉의 어려움으로 온라인 기반 서비스가 많아지면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더 강화되는 모습이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세계화와 함께 진행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신자유주의 관점과 연결되어 있어 종사 인력에 대한 통제, 과도한 표준화 등을 통해서 서비스 맥도날리제이션(McDonalization of human services)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있다(West & Health, 2011). 본고에서는 이 주제와 관련하여 『보건사회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검토하여 논점을 확인해 보았다.

새창으로 보기
표 1.

디지털 활용을 다룬 『보건사회연구』 게재 논문(1981년 제1권 제1호~2022년 제42권 제3호)

논문 제목(저자, 연도) 연구 분야 연구 결과 또는 제언
보건복지 전자정부 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수준 분석(류시원, 2003) 보건복지 보건복지 분야 전자정부 서비스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용 및 과정의 품질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을 압도하는 과학기술 시대의 보건복지(신영전, 2019) 보건복지 과학기술은 생태적 온존(well being)의 수단이어야 하고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온라인 건강정보 활용의 한계와 발전 방향 모색(오영삼, 조영은, 2019) 보건복지 온라인 건강정보가 편익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혼란을 유발하기도 한다. 온라인 건강정보에 대하여 환상을 가져서도 안 되지만, 막연한 두려움도 부적절하다.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 접근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박소영, 정순둘, 2019) 사회복지 디지털정보 접근성의 영향을 파악할 때 연령과 거주 지역의 차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접근성이 취약한 사람들에 대한 지원이 중요하다.
동적 시뮬레이션 접근을 통한 만성질환 관리의 스마트 헬스케어 효과성 연구(정윤, 이견직, 2019) 보건의료 스마트 헬스케어는 축적의 시간을 거쳐야만 혁신에서 기대하는 성과를 볼 수 있는 ‘이질성의 결합’이라는 역동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국내 비만 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그램의 체계적 고찰(전종설, 윤석현, 한혜원, 김진영, 2020) 보건복지 향후 디지털 헬스 연구에서 프로그램 목표를 정확히 개념화하고, 이론적 모델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척도 사용이 필요하다.
온라인 메신저를 활용한 건강 리빙랩 구성과 활용(오영삼, 정혜진, 강지영, 2020) 보건복지 리빙랩에서 발생하는 참여자 간 상호작용, 리빙랩 운영 한계, 문제해결 과정에서 발현하는 다양한 전략을 이해함으로써 리빙랩 혁신의 원리를 이해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남성 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엄사랑, 김수경, 김지원, 신혜리, 김영선, 2020) 사회복지 남성 노인의 전자기기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낮아지고 사회접촉이 높아지며, 은퇴로 인해 높아지는 우울감과 저하되는 사회접촉 모두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백옥미, 홍석호, 이미영, 장은하, 2021) 사회복지 디지털 세대가 기계 자체의 기능 활용을 통해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는 것에 비해 노인들은 기계 자체의 유익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기계를 매개로 한 사람과의 접촉이 더 중요해 보인다.
휴먼서비스 분야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장수미, 정지형, 이희연, 2022) 사회복지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이 대면 상담과 유사하거나, 더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 기반 비대면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적절하게 설계된 평가를 통한 실증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다.

분석 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홈페이지에 공개된 총 1,354편의 논문(1981년 창간부터 현재까지) 중에서 디지털 기반 보건복지를 다룬 논문을 추출하였다. 홈페이지의 논문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디지털, 비대면, ICT, 스마트, 온라인, 전자, 가상, 과학기술 등의 키워드로 검색한 후, 본 논의와 관련이 높다고 필자가 판단한 10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보건사회연구』에서 디지털 활용 논문은 2019년 이후인 비교적 최근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들을 통해서 도출되는 논점은 크게 세 가지로 보인다. 첫째, 보건복지에서 디지털 활용은 이용자에게 상당한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익이 취약한 사람들을 배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 편익을 입증하는 실증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다. 둘째, 보건복지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은 일반적인 산업에 적용된 기술의 경우와 달리 성과로 연결되는 데 상당한 과정과 시간이 요구되는데, 이는 사람과 기술이 상호 적응해 가는 역동적인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디지털 기술 활용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기술을 매개로 사람과 사람의 접촉이 더 높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복지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에 대한 맹목적 기대, 막연한 거부 모두 경계해야 하며, 이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참여를 중심에 두는 과정과 실증의 탐구가 중요하다. 그리고 Friedman(2017)의 『늦어서 고마워』의 다음 문장은 보건복지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의 논점을 잘 압축하여 보여준다.

기술은 우리가 더 생산적이고 더 건강하고 더 많이 알고 더 안전해질 수 있도록 하는 참으로 많은 도움을 준다. (중략)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이 우리가 깊숙한 인간의 관계를 맺어주고, 열망을 다루며, 에너지를 발휘하게 해 주는 것을 가로막지 않도록 할 때에만 우리는 그 기술에서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그렇게 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우리가 간단히 컴퓨터에서 내려받을 수 없는 것들에 달려 있다. 그것은 코치의 하이파이브, 멘토의 칭찬, 친구의 포옹, 이웃의 손 인사, 경쟁자의 악수, 낯선 이에게 받게 된 친절, 그리고 정원의 냄새가 주는 느낌같은 것들이다.

References

1 

류시원. (2003). 보건복지 전자정부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수준 분석. 보건사회연구, 23(1), 29-58.

2 

박소영, 정순둘. (2019).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보활용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3), 179-214.

3 

백옥미, 홍석호, 이미영, 장은하. (2021).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보건사회연구, 41(4), 108-127.

4 

신영전. (2019). Editorial: 인간을 압도하는 과학기술 시대의 보건복지. 보건사회연구, 39(1), 5-10.

5 

엄사랑, 김수경, 김지원, 신혜리, 김영선. (2020).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40(3), 248-285.

6 

오영삼, 조영은. (2019). 온라인 건강정보 활용의 한계와 발전방향 모색: 무지의 틀을 이용한 전문가 지식 분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2), 358-393.

7 

오영삼, 정혜진, 강지영. (2020). 온라인 메신저를 활용한 건강 리빙랩 구성과 활용: 미세먼지 피해 예방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352-386.

8 

장수미, 정지형, 이희연. (2022). 휴먼서비스 분야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사회연구, 42(1), 20-40.

9 

전종설, 윤석현, 한혜원, 김진영. (2020). 국내 비만관리 디지털 헬스 케어 프로그램의 체계적 고찰. 보건사회연구, 40(1), 560-591.

10 

정윤, 이견직. (2019). 동적 시뮬레이션 접근을 통한 만성질환 관리의 스마트 헬스케어 효과성 연구: 강원도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4), 396-424.

11 

FriedmanT. L.. (2017). 늦어서 고마워: 가속의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낙관주의자의 안내서(장경덕, 역). 서울: 21세기 북스. (원서출판 2016)

12 

West D., Heath D.. (2011). Theoretical pathways to the future: globalization, ICT and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Social Work, 11(2), 209-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