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노인복지론

서명/저자사항
노인복지론/ 권중돈 지음
판사항
5판
개인저자
권중돈 1960-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2
형태사항
526 p. : 삽화 ; 27 cm
ISBN
9788963309477
주기사항
참고문헌(p. 511-524)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161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161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의 초판을 쓴 지 8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이미 네 번의 수정·보완을 거쳤음에도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제도의 변화를 담아내는 데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을 정도로 노인복지분야의 변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장래인구 추계가 다시 이루어지고, 매 3년마다 실시되는 노인실태조사의 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노인인구 변화, 노인의 삶의 실태와 욕구에 대한 내용을 대폭 손질할 필요가 생겼다.

이번 개정판에서 제1부는 노인인구의 변화에 관한 자료를 위주로 수정하였다. 즉, 제1장에서는 2012년에 발표된 새로운 장래인구 추계결과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kr)의 인구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노인인구의 변화 양상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였다. 제2장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최근의 학술 논의를 일부 보완하는 선에서 개정하였다.
제2부의 노년기의 삶, 욕구 및 문제의 수정을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1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과 복지욕구 전반에 관한 내용을 최신 정보와 자료로 수정하였다. 또한 한국노년학회(www.tkgs.or.kr)와 한국노인복지학회(www.koreawa.or.kr)의 학회지, 그리고 외국의 노년학 전문저널에 발표된 최근 학술논문을 근거로 최신 연구결과를 보완하였다. 제3장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노동부(www.moel.go.kr)의 고령인력 활용과 퇴직 관련 자료를 근거로 수정하였다. 제4장은 국민건강보험공단(www.nihc.or.kr)의 건강보험 통계자료를 보완하여 손질하였다. 제5장은 치매 관련 협회(www.alzza.or.kr)의 최신자료를 바탕으로 보완하였고, 제6장은 여가활동과 자원봉사에 관한 통계자료와 학술논문을 바탕으로 최신 정보로 수정하였다. 제7장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www.longtermcare.or.kr)의 개정 내용과 이에 따른 시설관리운영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8장에서는 노인 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관련된 자료를 수정하였으며, 제9장에서는 노인 자살, 노년기 성생활, 노인의 안전 및 인권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보완하였으며, 노인의 정치참여에 대한 내용은 삭제하였다.
목차

5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7


제1부 노화와 노인의 이해

제1장 노인과 노인문제
1. 노인에 대한 이해
2. 노인인구의 변화와 사회적 영향
3. 노인의 욕구, 노인문제 및 노인복지의 관계
4. 노인복지학의 이해

제2장 노화의 과정과 결과
1. 노화의 개념과 영역
2. 생물적 노화
3. 심리적 노화
4. 사회적 노화
5. 성공적 노화


제2부 노년기의 삶, 욕구와 문제

제3장 노년기의 경제생활
1. 노년기의 소득과 지출
2. 노년기의 일의 의미와 경제활동실태
3. 은퇴의 과정과 적응
4. 현행 퇴직제도의 현황과 문제

제4장 노년기의 건강과 케어
1. 건강과 질병의 개념
2. 노인성 질환의 특성
3. 노년기의 주요 질환
4. 노년기의 질병 양상
5. 일상생활 동작능력
6. 노년기의 영양관리
7. 노인환자의 케어
8. 노인의 건강문제로 인한 사회비용

제5장 치매의 이해
1. 치매의 개념
2. 치매의 원인과 유형
3. 치매의 증상과 경과
4. 치매의 예방, 진단 및 치료
5. 치매노인의 간호방법
6. 치매가족의 부양부담과 지원

제6장 노년기의 여가생활과 교육
1. 노년기 여가활동의 의의
2. 노년기 여가활동 유형의 변화
3. 여가활동 참여실태와 촉진방안
4. 노년기의 자원봉사활동
5. 노인교육

제7장 노년기의 주거생활과 고령친화산업
1. 노년기 주거환경의 중요성
2. 노년기의 주거 형태와 현실
3.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의 계획
4. 노인복지시설
5. 고령친화산업

제8장 노년기의 사회관계망
1.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
2. 노인가족의 구조와 기능
3. 노년기의 가족관계
4. 노년기의 친구 및 이웃 관계

제9장 노년기 삶의 이면
1. 죽음
2. 호스피스
3. 노년기의 성생활
4. 노인인권과 노인학대
5. 정보화와 노년공학
6. 노인의 안전과 범죄


제3부 노인복지 정책과 실천

제10장 노인복지와 노인복지정책
1. 노인복지의 의의
2. 노인복지의 구성체계
3. 노인복지의 발달
4. 노인복지정책

제11장 현행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
1. 소득보장
2. 고용보장
3. 주거보장
4. 건강보장
5. 사회서비스

제12장 노인복지 프로그램
1.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성
2. 노인복지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
3. 노인복지조직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4.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과 모형
5.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6. 노인복지 프로그램 제안서 작성

제13장 노인복지실천
1. 노인복지실천의 이해
2. 노인상담
3. 사례관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