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서명/저자사항
사회복지개론/ 지은이: 권중돈, 조학래, 윤경아, 이윤화, 이영미, 손의성, 오인근, 김동기 공저
판사항
3판
대등서명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개인저자
권중돈 1960- | 김동기 1976- | 손의성 1963- | 오인근 1975- | 윤경아 1965- | 이영미 | 이윤화 1969- | 조학래 1962-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6
형태사항
441 p. ; 25 cm
ISBN
9788999709067
주기사항
참고문헌(p. 415-433)과 색인수록
책 소개
『사회복지개론』 3판은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사회보장급여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기초연금법 등 사회복지 관련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과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등의 사회복지분야 장기발전계획의 수립에 따라 다양한 사회복지제도의 변화를 반영하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예비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에 대한 기본 이해를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2부에서는 사회복지에서 사람을 돕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제3부는 서로 다른 삶의 현장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을 어떻게 도울 것인지, 즉 사회복지의 분야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 책의 각 장은 다른 개론서와는 조금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첫머리에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학습목표를 제시한 후, 학습해야 할 세부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다음으로는 각 장의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생각해 볼 과제’를 제시해 두었으며, 자발적 보충학습과 필요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당 영역과 분야의 ‘인터넷 추천 사이트’를 함께 수록하였다. 그리고 학습자가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개념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해설을 추가해 두었다. 또한 제3부 사회복지 분야의 각 장에서는 예비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갖고, 미래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를 개척하는 데 필요한 사회복지 기관과 시설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수록하였다.
목차

3판 머리말

제1부 사회복지의 이해

제1장 사회복지의 개념 이해
1. 인간 욕구, 사회문제 그리고 사회복지의 관계
2. 사회복지의 개념
3. 사회복지의 목적
4. 사회복지의 영역과 분야
5. 사회복지학의 성격

제2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의 가치
2. 사회복지 실천윤리
3.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와 해결방안
4. 사회복지와 인권

제3장 사회복지의 역사와 구성체계
1. 사회복지 역사의 단계
2.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
3. 사회복지의 구성체계

제2부 사회복지의 방법

제4장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
1.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의 개념과 특성
2.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원칙
3.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4.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5.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5장 지역사회복지와 사례관리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
2. 지역사회복지의 모델과 과정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현장
4. 사례관리실천

제6장 사회복지 정책 및 행정
1. 사회복지정책
2. 사회복지행정

제3부 사회복지의 분야

제7장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제8장 아동복지
1. 아동복지의 개념과 특성
2. 아동의 삶과 복지욕구
3. 아동복지의 이론적 준거
4. 아동복지 정책과 실천
5. 아동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9장 청소년복지
1.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특성
2.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과 복지욕구
3. 청소년복지의 이론적 준거
4. 청소년복지 정책과 실천
5. 청소년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10장 노인복지
1. 노인복지의 개념과 특성
2. 노인의 삶과 복지욕구
3. 노인복지의 이론적 준거
4. 노인복지 정책과 실천
5. 노인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11장 장애인복지
1. 장애 개념과 장애범주
2. 장애인의 삶과 복지욕구
3. 장애에 관한 이론적 준거
4. 장애인복지 정책과 실천
5. 장애인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12장 여성복지
1. 여성복지의 개념과 범주
2. 여성의 삶과 복지욕구
3. 여성복지의 이론적 준거
4. 여성복지 정책과 실천
5. 여성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13장 가족복지
1. 가족복지의 개념
2. 가족의 삶과 복지욕구
3. 가족복지의 이론적 준거
4. 가족복지 정책과 실천
5. 가족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14장 의료 및 정신보건 사회복지
1. 의료사회복지
2. 정신보건사회복지

제15장 교정 및 군(軍) 사회복지
1. 교정복지
2. 군사회복지

제16장 산업복지와 자원봉사
1. 산업복지
2. 자원봉사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