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관리자의 경력목표가 직장-가정생활 부정적 상호전이과정과 유연근무제도 수요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from career goals on the relations between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s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 demands)
- 개인저자
- 김현동
- 수록페이지
- 289-316 p.
- 발행일자
- 2014.12.16
- 출판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유연근무제도는 관리자로 하여금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어 유연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직장-가정생활의 부정적 상호전이와 경력목표에 따라 관리자의 유연근무제 필요성이 유의미하게 달라지는 지 한국여성관리자패널에서 자녀를 둔 관리자 1,254명을 대상으로 검증해보았다. 직장-가정생활의 부정적 상호전이과정은 관리자의 유연근무제 수요를 높이고 있다. 관리자의 경력목표에 따라 직장-가정생활의 부정적 상호전이과정과 유연근무제 수요의 관계는 달라진다. 직장-가정생활의 부정적 전이수준이 높을 때 경력목표가 중간관리자이면 경력목표가 CEO인 관리자들과 비교하여 유연근무제 수요가 낮다. 이와 달리 가정-직장생활의 부정적 전이수준이 높을 때 중간관리자 경력목표인 관리자들의 유연근무제 수요는 최고경영자 경력목표와 비교하여 유연근무제 수요 또한 높다. 회사는 유연근무제를 계획하고 실현할 때 관리자들이 느끼는 직장-가정생활의 부정적 전이와 더불어 이들의 경력목표를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된다.
As flexible work arrangement supports company managers achieve work-family balance, the interests in flexible work arrangement have been increasing.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s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s and career goal on flexible work arrangement demand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is 1,254 company ma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negative work-family and family-work spillovers increase the demands for flexible work arrangements. Career goal determines the relations between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s and career goals. Senior manager career goal has lower demands for flexible work arrangements compared to CEO career goal when they experience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Senior manager career goal also increases the demands for flexible work arrangements compared to CEO career goal when they experience negative family-work spillover. Companies must consider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s and career goal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for manag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