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육아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The Regulating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Services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velopment of Infants)

개인저자
김현옥
수록페이지
171-195 p.
발행일자
2014.1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육아지원서비스의 효과를 결정하는 양육 요인이며,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육아지원서비스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영아 발달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제 3차 데이터인 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육아지원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95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육아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는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개인대리양육은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신체적 발달을 조절하였으며, 시설보육은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정서적 발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결론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services, and it also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Using the 2010 Panel of Korean Childr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whether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whether child care support services have a regulating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infants. 959 mothers who use child care support service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and regul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Second, individual alternative care significantly regulates parenting stress and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 care facilities significantly regulat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infants. Following the discussion of such conclusions, the proposal was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