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영아의 보육교사와의 애착안정성 정도와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Infants’ Gender and Attachment Security with Their Teachers)
- 개인저자
- 강은진
- 수록페이지
- 197-213 p.
- 발행일자
- 2014.11.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영아와 보육교사의 애착안정성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 233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에 의해 교사와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상, 하 집단으로 나눈 139명을 대상으로 영아의 성별과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와 교사의 애착정도성 정도에 따른 상․하집단에 따라 전반적인 사회적 유능성 뿐만 아니라 모든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아의 성별에 따라 놀이의 참여와 시도를 제외한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아와 교사의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집단과 성별은 각각이 사회적 유능성에 주효과는 있으나,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를 위한 적합한 조기 보육환경 마련을 위해 영아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애착관계증진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들이 모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infant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teacher and infant attachment security. The subjects were 233 young children from daycare centers in Seoul.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subjects’ level of social competence and their level of attachment security.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level of social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two groups divided by the level of attachment security. Second, children’s gender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makes a difference in their level of social competence. Lastly,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children’s gender and attachment security on their soci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support and improve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with their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