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아버지-자녀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부모효능감,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자녀 양성성에 미치는 영향(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Father-child Program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 Interaction between the Father-child, and Child Androgyny)

개인저자
황혜신
수록페이지
1-19 p.
발행일자
2015.09.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아버지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Y구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 80쌍이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은 아버지의 부모효능감 하위영역 중 부모로서의 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아버지-자녀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애정표현, 활동공유 애정표현 향상과 비일관적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성역할 개념을 통한 양성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가사일과 놀이에서 양성적 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버지들이 양육에 참여하여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양성 평등한 가정 확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father-child program on the father and the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pairs of father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who are enrolled in a child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Y, Seoul Cit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gathered by using the SPSSWin 16.0 program and conducting a T-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ther-child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enhancement of parental efficacy amongst the subdomain of parenting efficacy.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father-child interaction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expression of emotional affection and activity sharing expression of affection as well as the decline of inconsistent behaviors. Moreo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caused by the gender role concept of the child on the changes of androgyny, it was shown that house chores and plays were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androgyny. Such results will be applied as useful basic data for fathers to participate in nurturing and supporting the healthy growth of their children as well-established families with gender 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