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관계(The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Kindergarteners’ School Readiness :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 Adjustment)

개인저자
전은옥
수록페이지
93-119 p.
발행일자
2015.09.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 기관적응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에서 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90명과 해당 학급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어머니와 교사의 학교준비도는 차이가 있다. 둘째, 여아가 남아보다 학교준비도가 높으며, 유치원을 방과후과정반까지 이용하는 유아의 사회정서 유능성이 높았다.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해 기관적응 하위요인인 ‘일과에 대한 적응’, ‘자아강도’, ‘친사회성’과 가정환경 자극의 하위요인인 ‘규칙적인 양육’, ‘반응적 상호작용’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기관적응은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 adjustment. The subject is the 290 mother and 26 teachers of 5 year-olds, located in Gyeonggi-do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mother and Teacher of school readiness is different. Second, girls showed better school readiness than boys, and full-day preschoolers showed higher school readiness than regular course children. Father’s education level was a meaningful variable in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ird, ‘adaptation to daily routines’, ‘ego strength’, and ‘pro-sociality’ of preschool adjustment and ‘regular parenting’ and ‘responsive interaction’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ffected children’s school readiness. Finally, preschool adjustment work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