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역기능적 훈육방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and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 to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 개인저자
- 김야은
- 수록페이지
- 143-162 p.
- 발행일자
- 2015.09.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훈육기에 해당하는 2~3세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역기능적 훈육방식이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3세 유아의 어머니 181명이었으며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효능감과 역기능적 훈육방식 중 과잉훈육,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서로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또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과잉훈육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과잉훈육은 부모효능감과 양육행동을 매개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과잉훈육은 하지 않으며 과잉훈육을 적게 할수록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task and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 to their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The subjects were 181 mothers with children ranging from 2 to 3 years of ag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 Self-efficacy for parenting task index(Coleman qqqamp; Karraker, 2000), 2) Measure of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Arnold et al., 1993; revised by Choi, 2001), and 3) Parenting behavior(Lawton et al., 1984; revised by Ahn, 2000).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task and overreactivity, which is one of the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 were related to the parenting behaviors. Also, mother’s overreactivity has mediation effect between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and parenting behaviors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