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의 유형화(Clustering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on Personal,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Life Factors)

개인저자
천희영
수록페이지
1-24 p.
발행일자
2015.1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6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을 규명하고 그 변인들의 유형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아존중감, 부모양육방식, 가구소득, 성적, 교우관계, 교사관계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상관관계분석, 군집분석, 평균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삶의 만족도는 교사관계를 제외한 5개 변인과 관계가 있었다. 군집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방식은 차이가 없고 가구소득, 성적과 교우관계는 차이를 보이는 군집2와 군집1은 높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그러나 군집1과 가구소득의 차이는 없지만 부모양육방식, 자아존중감, 성적, 교우관계에서 차이 있는 군집3은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This study identified variabl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s composed with the variables. The data of 63 fourth and fifth grad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life satisfaction had meaningful relations with 5 variables but not with the variable of teacher relationship. Cluster2 and cluster1 showed different levels in family income, grade, and peer relation, but the same levels in self-esteem and parental child neglect and abuse. Compared with cluster1, cluster3 was not different in family income, and was different in parental child neglect and abuse, self-esteem, and peer relation. The life satisfaction levels of cluster2 and cluster1 were higher than that of cluster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