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걸음마기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The Effect of Variables on Mother’s Reactions to their Toddler’s Negative Emotions)
- 개인저자
- 김양은
- 수록페이지
- 25-52 p.
- 발행일자
- 2015.11.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18~36개월 영아를 둔 어머니 141명이었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t 검증,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자녀와 어머니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영아의 월령,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 영아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역할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수준이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에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은 어머니의 연령과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으로 나타났다. 또,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도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 및 어머니의 특성에 따라 어머니가 자녀의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는 걸음마기 영아들을 훈육함에 있어 어머니가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적합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그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ables and the influence affecting mothers’ reaction to toddlers’ negative emotions. Subjects were 141 mothers with toddlers aged 18 to 36 months an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if mothers’ reaction to their toddlers’ negative emo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oddlers and mothers and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oddler’s month, birth order and mother's 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ddler's birth order, mother's age, negative emotionality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burden and distress level and mother’s unsupported reaction to her toddler’s negative emotion. Third,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to mother’s unsupported reaction were found to be mother’s age and negative emotionality of toddlers. And it was also found that negative emotionality of mothers is a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unsupported reaction of mothers. This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way to deal with her child’s negative emo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oddlers and mother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to ensure that mothers can do appropriate react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in training toddlers with increasing negative e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