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Health Status and Burnout on Their Quality of Life)
- 개인저자
- 구은미
- 수록페이지
- 1-17 p.
- 발행일자
- 2016.07.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삶의 질은 보육시설의 설립유형과 근무시간, 월 평균 급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가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할수록 삶의 질이 높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었고, 소진을 더 많이 느낄수록 삶의 질이 낮다고 인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보육교사의 삶의 질은 건강에서 신체적 건강과 소진에서 비인간화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신체적 건강, 성취감 저하, 일일 근무시간 순으로 큰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반적인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소진을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교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health status and burnout on their quality of life. Two hundred and sixty four child care teachers completed measures of health status, burnout an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the child-care teachers were employed, work hours and average w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health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and there was also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humanization and quality of life. Thir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physical health status, decline in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daily work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child-care teachers’ health and to reduce burnout. Ultimately, this study’s contribution is to facilitate ways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