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개인저자
이경례
수록페이지
1-23 p.
발행일자
2016.09.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교사 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서 실시된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가한 영아교사 143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은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조절능력과 교수효능감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은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성인애착의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정서조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영아교사 성인애착의 불안애착이 낮을수록,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력은 교사효능감 중 돌봄, 정서조절능력, 성인애착의 불안애착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effects of infants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f 142 infant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re above the average but infant care teacher's adults attachment was lower than them. Seco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infants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but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infant care polic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