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의 친구관계 변화양상과 사회적 능력에 대한 연구(Study of Changeability in Friendship and Social Competences of Young Children)
- 개인저자
- 조정화
- 수록페이지
- 225-247 p.
- 발행일자
- 2016.09.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아들의 친구관계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사회적 능력 간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19명의 만 4, 5세 유아들이었다. 학기 초와 학기 말에 또래지명법으로 학급에서 친한 친구를 조사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아의 친구관계 변화양상을 안정, 유동, 손실, 획득, 친구없음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은 담임교사를 통해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약 37%의 유아는 안정 유형, 7.3%는 유동 유형, 13.2%는 손실 유형, 16.9%는 획득 유형, 그리고 24.7%는 친구없음 유형이었다. 또한 유아들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각 유형에 속하는 유아들의 빈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안정, 유동, 그리고 획득 유형의 유아들은 친구없음 유형의 유아들보다 사회적 능력이 우수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아들의 친구관계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사회적 능력 간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19명의 만 4, 5세 유아들이었다. 학기 초와 학기 말에 또래지명법으로 학급에서 친한 친구를 조사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아의 친구관계 변화양상을 안정, 유동, 손실, 획득, 친구없음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은 담임교사를 통해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약 37%의 유아는 안정 유형, 7.3%는 유동 유형, 13.2%는 손실 유형, 16.9%는 획득 유형, 그리고 24.7%는 친구없음 유형이었다. 또한 유아들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각 유형에 속하는 유아들의 빈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안정, 유동, 그리고 획득 유형의 유아들은 친구없음 유형의 유아들보다 사회적 능력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