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아의 행복감, 어머니 행복감과 양육행동, 가족환경 변인들 간의 관계 연구(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Feeling of Happiness,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Parenting Behaviors, and the Elements of Familial Environment)

개인저자
김진이
수록페이지
53-77 p.
발행일자
2018.03.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 행복감, 어머니 양육행동과 가족 기능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탐색하고 관련변인들 간의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7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총 1,291가구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중다 회귀분석, 경로분석, 조절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 행복감은 유아의 행복감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음이 발견되었고,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울러 어머니 행복감 수준이 증가할 때 가족기능은 유아의 행복감 수준을 더욱 증가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어머니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들 간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어머니 우울증,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 행복감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가정의 경우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증, 어머니 결혼만족도, 지역 만족도, 사회적 지원 등이 어머니 행복감 수준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행복감 증진의 방안마련을 위한 실천에의 함의와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ve effects of a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and nurturing actions as well as familial functions on a child's feeling of happiness and seeks to examine the path of influence among related factors. To do this, it uses data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a total of 1,291 families for the final study.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24.0, particular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s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happiness of a mother and that of a child, with the benevolent nurturing actions of a mother playing a partially intermedi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s of happiness of a mother and a child. Moreover, when a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increased, familial functioning proved to have the mediative effect of increasing the child's feeling of happiness. Upon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 of the surrounding relative factors affecting a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a mother's depression and child care stress were significant factors on the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in a low-income family; in ordinary families, a mother's self-respect, a conflict in marriage, the mother's dep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and the level of community satisfaction and community support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the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paper presents the implications and policy plans in terms of improving a child's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