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상태의 조절효과(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 개인저자
- 이예진
- 수록페이지
- 79-101 p.
- 발행일자
- 2018.03.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여부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변인들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5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양육스트레스(K-PSI-SF)와 모-자녀관계(K-PRQ-P) 도구를 토대로 한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t-test,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 시행되어졌다. 연구결과에서 첫째, 취업모는 전업모에 비해 모-자녀관계의 양육효능감은 높고, 관계좌절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의 부모고통은 취업모보다 전업모가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여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어머니 취업의 상황적 여건과 양육스트레스의 심리적 여건 모두를 고려한 개별화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68 mother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who attend a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in the Gyungin area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using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loyed mothers showed higher parental confidence and lower relational frustra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higher parental distress and parenting stress than non-employed mothers.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from bo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Third, the results indicate a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stress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mother-child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