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중장년 취업자의 가구 및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Older Workers’ Household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개인저자
- 박은선
- 수록페이지
- 1-32 p.
- 발행일자
- 2017.06.30
- 출판사
-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18차 한국노동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50~69세 중장년 취업자의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가구 및 일자리 특성, 개인적 특성과 직무만족 간 관계에 있어서 신뢰와 사회적 관계로 구성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중장년 취업자의 일자리 특성(월평균 근로소득, 주당 평균 근로시간, 직종, 업종),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과 직무만족 간 관계를 사회자본이 매개하였다. 그러나 가구 특성(자녀 수,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사회자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기여점은 신뢰와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사회자본을 통해 중장년 취업자의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더욱 정교화 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서 중장년 취업자들의 특성에 맞는 인력관리가 더욱 요구되며,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사회자본을 확충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older workers, by drawing upon the 18th KLIPS data. The model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capital, composed of trust and social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job,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Social capital (i.e. trust and social relation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wide array of job characteristics (average monthly wage,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type of occupation, type of industr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 level, health condi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capital is not significant for household characteristics (number of dependents, marital status, status as head of househo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elaborated the mechanism of job satisfaction, in which job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of elderly workers) can affect soci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