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행복감 증진을 위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Arts and culture education using multimedia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개인저자
박민지
수록페이지
513-539 p.
발행일자
2017.11.30
출판사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의 G병설유치원과 T병설유치원의 만 4세 유아 40명이며 이를 대상으로 자기표현력, 유아행복감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점수를 평정하였다. 최종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행복감 점수는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이 유아기부터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 유아교사에게 누리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apply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using multimedia a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 children less than 4 years in Korean age from two classes of attached kindergarten G and T in City C,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they had rated score using the test tool of self-expression and childhood happiness. Applicated an end result, the t-test was conducted for verifying the distinction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It appear that the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score of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So it verifies for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using multimedia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using multimedia must be carried out in early childhood for promoting the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and expected that it informs teachers who desire to execute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Noori curriculum.